-
카드사들이 네이버페이를 비롯한 빅테크들의 후불결제 시장 진출에 크게 우려하고 있다. 간편결제가 사실상 카드업과 유사해지기 때문에 기존 카드사와 같은 규제와 잣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카드사들은 네이버페이가 4월부터 최고 30만원 한도로 후불결제가 가능해지는 것에 반발하고 있다.
금융위원회가 최근 네이버파이낸셜의 '소액 후불결제 서비스'를 혁신금융으로 지정하면서 4월부터 월 최고한도 30만원 내에서 후불결제 서비스가 가능해졌다. 결제 시 충전금액이 부족해도 30만원 내에서 나중에 결제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주부, 대학생, 사회초년생 등 신파일러(금융이력 부족자)들이 주요 타깃층이다. 1300만명에 이르는 이들은 신용이력이 부족해 신용카드 발급이 어려워 체크카드 및 하이브리드 체크카드를 대신 사용해왔다.
특히 젊은층과 주부들은 온라인 쇼핑 구매력이 높아, 향후 빅테크들의 후불결제 서비스 이용이 급격하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소액 후불결제 서비스는 사실상 '하이브리드 체크카드'와 같은 것으로, 카드업계는 고객들의 대량 이탈을 우려하고 있는 것.
하이브리드 체크카드도 계좌에 있는 잔액이 부족할 경우 최고 30만원 한도 내에서 후불결제가 가능하다. 단 1인당 2매까지 발급카드 수를 제한하도록 했다.
반면 네이버페이 등 빅테크는 발급수 제한이 없다. 즉, 연내에 카카오페이, 토스, 쿠팡 등이 추가로 서비스를 신청할 경우 고객들은 최대 3~4곳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1인당 2~3곳의 빅테크만 이용해도 60만~90만원까지 커버가 된다는 얘기다.
실제로 5개 카드사들의 개별 월평균 신용카드 사용액을 조사한 결과, 60만~8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를 두고 카드업계는 공정경제에 어긋난다는 입장이다. 카드사들은 소비자보호와 자본건전성 등 카드업에 대한 여러가지 규제를 금융당국으로부터 받고 있다.
하지만 네이버페이 등 빅테크들은 카드사들보다 많은 혜택을 누리면서 그에 따른 규제를 덜 받기 때문이다. .
높은 연체율로 자본건전성 훼손도 우려된다. '하이브리드 체크카드'의 연체율은 지난해 3월 기준 5개(삼성·롯데·우리·하나카드·농협은행)사 기준 3.53%로 신용카드 연체율(0.94%)의 3배가 넘은 것으로 알려졌다. 간편결제 역시 연체율로 자본건전성이 훼손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카드업계는 차라리 네이버페이 등 빅테크들도 정식으로 라이센스를 받고 기존 카드사들과 같은 규제를 받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또 카드사들처럼 발급(매수) 제한을 통해 자본건전성 유지에 힘을 쏟아야 한다는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충전금액을 쓰다가 잔액이 부족할 때 발생하는 곤혹스러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후불결제 서비스를 도입하기로 했지만, 이는 보완역할이 아니고 사실상 빅테크들에 대한 특혜”라고 말했다. 이어 “수수료 규제를 비롯해 기존 카드사들과 동등한 규제가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후불결제는 사실상 신용공여이기 때문에 이번 간편결제 업체의 후불결제 서비스 도입은 카드업계의 신용창출 매커니즘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다만 자금 여력이 부족한 젊은층이 여러 업체에서 후불 결제를 이용해 연체가 급격히 늘어날 수 있어 철저한 여신관리를 통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