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제 정비, 규제샌드박스 활성화 필요기술 수준 높아도 AICC(자동응답전화)그쳐, 문제는 상업화카카오 “‘멀티 모달’ 모델 순차 공개 예정”
-
카카오의 초거대 AI(인공지능)가 세간의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규제와 상업화 등 과제가 산적한 것으로 파악된다.18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브레인은 올 상반기 발표한 AI모델을 바탕으로 한 상업화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또한 ‘멀티 모달’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모델도 공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멀티 모달 방식이란 2021년 12월 카카오브레인에서 공개한 ‘민달리(minDALL-E)’처럼 여러 가지 형태와 의미로 컴퓨터와 대화하는 형태를 말한다. 민달리는 이용자가 텍스트로 명령어를 입력하면 실시간으로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어주는 이미지 생성 모델이다. 전문가들은 멀티모달 방식의 AI 개발에 기존보다 훨씬 더 많은,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가 필요하다고 말한다.또한 전문가들은 초거대 AI가 더 발전하기 위해서 다양한 데이터를 학습해야 하며 현재의 규제샌드박스 논의를 발전시켜 학습데이터의 양과 질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한다.해당 논의는 2021년 9월에 열린 민·관 협동 ‘인공지능 최고위 전략대화’에서도 이뤄졌다. 하지만 초거대 AI를 고도화하기 위해 대규모 데이터 활용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고, 법제 정비와 서비스 조기 실증을 위한 규제샌드박스 등이 필요하다는 정도로 논의하는 데 그쳤다.최경진 가천대 법학과 교수는 “공적 영역 등 다양한 데이터를 AI가 학습하게 한 뒤 (개인정보 노출 위험이 있는) 원래 데이터는 더 이상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면 된다”며 “알고리즘을 고도화 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인정보 규제샌드박스 같은 제도를 도입해 더 많은 데이터를 학습하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피력했다.서비스가 나왔을 때의 법적인 문제도 예상된다. 저작권법, 개인정보보호법 등을 중점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2021년 12월에 열린 ‘인공지능의 사고와 범죄, 누가 어떻게 책임질까?’를 주제로 한 공개세미나에서는 인공지능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 문제가 다뤄졌다. 개인정보보호법과 관련해서는 AI 챗봇 이루다 사태가 대표적이다. 개인정보 및 혐오표현을 필터링하지 않은 데이터 학습의 결과물로 AI 개발 윤리 문제가 불거진 바 있다.전문가들은 초거대 AI의 발전 수준과 연구 결과와는 별개로 결국은 상업화가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카카오브레인은 교육과 헬스케어 분야에서 초거대 AI를 적용할 방침이다. 교육에서는 언어와 코딩, 헬스케어에서는 신약 개발이 중점이다.카카오브레인은 카카오 공동체 서비스에 멀티 모달 AI를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다음 등 검색엔진에서 이미지 검색을 AI 기반으로 바꾸고, 커머스 검색 서비스 등에 적용한다는 구상이다. 또한 카카오뱅크와 협업해 언어모델 ‘KoGPT(코지피티)’를 기반으로 AICC(자동응답전화) 서비스를 구축할 계획을 내비쳤다.AICC는 현재 AI가 가장 많이 진출한 분야다. 이미 금융권을 비롯한 KT 등은 디지털 전환을 목표로 자사 고객센터를 비롯해 소상공인들을 위한 AICC 서비스를 구축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카카오의 AICC가 다른 서비스와 비교해 품질 등에서 초격차를 내지 않는 이상 차별화가 어려운 부분이라고 분석한다.카카오 관계자는 “현재는 순수 기술을 공개한 단계로 법적인 문제는 없었다”며 “차후 멀티 모달 중심으로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