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연봉 재원 인상안에 만족못하는 직원들4900억들여 제2사옥 지어도 재택근무 원해계속되는 노사갈등, 생산성·경쟁력 저하 우려
  • ▲ ⓒ네이버
    ▲ ⓒ네이버
    네이버 노사갈등이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노사간 연봉협상, 재택근무 등 처우개선과 업무 문화 관련 이견을 보이며 내부 잡음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12일 네이버 노조에 따르면 임금단체협상 잠정합의안에 대한 조합원 찬반투표가 가결됐다. 잠정합의안에는 임직원 연봉 예산을 10% 늘린다는 임금 협약 내용이 포함돼 최소 300만원 인상을 보장한다. 네이버는 2020년과 2021년 각각 전년대비 5%, 7% 인상했었다.

    그러나 합의안에 반대하는 네이버 직원들이 훨씬 많은 분위기다. 블라인드에 올라온 찬반투표에서는 투표 참여자의 90%가량 해당 안에 반대했다. 올해 인상률이 지난해보다 높아졌지만 업계의 인상폭에 비해서는 부족하다는 불만이 나온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네이버의 1인당 평균 보수는 1억 2900만원으로, 경쟁사 카카오는 1억 7200만원이다. 이는 스톡옵션을 행사해 거둔 차익을 포함한 수치지만 네이버 직원들이 “카카오에 연봉이 역전됐다”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게다가 남궁훈 카카오 대표는 연봉 총액을 15% 인상하겠다는 방침을 내놔 불만은 더 커졌다.

    직원들의 화살은 업계와 비교를 넘어 임원들에게 향하고 있다. 이른바 ‘평균의 함정’으로 연봉 재원이 인상되고 스톡옵션과 인센티브가 증가한 과실이 임원들에게만 돌아간다는 것이다. 실제 지난해 네이버 임원의 평균 연봉은 4억 630만원, 카카오는 2억 4900만원으로 역전된 평균 연봉에 비해 임원 연봉은 크게 앞서자 불만이 속출했다.

    네이버는 서둘러 입장을 내놓으며 집안 단속에 나섰다. 김남선 네이버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내부망에 “스톡옵션 행사 차액을 뺀 보상은 네이버가 더 높다”며 “카카오 미등기 임원들 선임 시기가 작년 10월 이후인 만큼 네이버 임원 연봉과 단순 비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네이버 노사간 갈등은 재택근무 등 업무 문화로 번지는 모양새다. 사측은 사무실 출근을 원하지만, 직원들은 4900억원을 들인 제2사옥에 출근하기보다는 재택근무를 더 원하고 있다.

    네이버는 본사직원 4795명을 대상으로 코로나 이후 근무제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 결과 혼합식 근무를 희망하는 직원은 52.2%, 주5일 재택근무를 원하는 직원은 41.7%를 기록했다.

    단순 수치상으로는 혼합식 근무를 희망하는 직원이 높지만, 조사 결과를 파헤치면 실상은 다르다. 혼합식 근무 선택 응답자에 한해 사무실 출근 횟수를 추가로 조사한 결과 주 2일 사무실 근무가 40.1%로 가장 높았다. 이를 전체로 환산하면 20.9%로 네이버 직원들은 혼합식 근무보다 주5일 재택근무를 원한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네이버는 최근 본사 그린팩토리 옆에 전 직원 사무실 출근을 염두에 두고 설계한 제2사옥을 완공한 바 있다. 그러나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6월까지 전면 원격근무를 연장한 상태다. 네이버는 근무제도 관련 직원들의 의견을 반영해 5월 새 근무제도를 확정하고 7월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네이버 노사갈등이 겉으로는 봉합됐지만, 직원들의 불만이 가중되면서 생산성 저하와 경쟁력 악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과도한 인건비 인상이 실적에 영향을 주는 것도 문제다. 넥슨과 엔씨 등 게임사들은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내고도 인건비 인상으로 실적에 타격을 입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IT업계의 보상체계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됐다고 진단함과 동시에 고정비용 증가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이혁 강원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플랫폼의 규모와 자금력이 커지고 인공지능·메타버스 경쟁이 심화되며 인력난으로 인한 보상체계 논의가 본격화 되는 모습”이라며 “단기차익성향은 지양하고 인력에 대한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보상체계 마련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8%대로 오르며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고 ESG 정책이 강화되는 상황에서 고정비용 증가는 기업의 장기적 투자여력 및 배당가능 이익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며 “기업의 성장성과 주주환원 정책이 훼손되지 않도록 장기적이고 건설적인 논의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