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기침체 속 허리띠 바짝 졸라매조직개편·구조조정 등 자구책 마련 분주총선 앞두고 정부 '포털 때리기' 우려도
  • 카카오가 주요 계열사를 중심으로 인력을 전환 배치하는 등 전방위적인 '체질개선'에 나섰다.

    글로벌 경기침체로 업황이 악화되자 조직 개편과 구조조정 등 자구책 마련에 나선 것인데 일각에서는 본격적인 '감원 신호탄'이 아니겠느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최근 매출이 큰 폭으로 하락한 검색포털 '다음'(DAUM)을 사내독립기업(CIC)으로 분리했다. 적자 상태인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및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경우 임원 교체 희망퇴직 등 구조조정에 착수했다. 

    지난달 CEO를 교체한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클라우드 사업을 중심으로 조직을 개편했다. 클라우드 사업부 외 직원들에게 카카오그룹 내 이동 및 타 회사 전적을 권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지난 12일부터 25일까지 2주간 10년 차 이상의 고연차 직원들에게 희망퇴직 및 이직·전적을 권하고 있다.

    조직개편은 카카오의 부진한 실적에 기인한다. 카카오의 1분기 영업이익은 711억원으로 전년 대비 55% 감소해 반토막 났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지난해 영업손실 138억원을 기록해 7년만에 적자 전환했고,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지난해 영업손실 1406억원을 기록해 2020년 영업손실 368억원에서 매년 적자가 500억원 씩 불어나는 추세다.  

    이준서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는 “카카오가 사업 인력을 그동안 적정인력보다 더 많이 갖고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희망퇴직을 시작으로 카카오 전반에 구조조정 '칼바람'이 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설상가상으로 정부의 플랫폼 규제 움직임이 강화되고 있다.

    올 초 공정거래위원는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의 시장지배적지위 남용행위에 대한 심사지침을 제정, 시행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플랫폼의 특성을 반영한 독과점 심사지침을 새롭게 마련하고 기업결합 심사기준도 개정하기로 했다.

    특히 플랫폼 기업들의 독과점을 막기 위한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온플법)'도 재점화되고 있다. 현재 국회에는 총 17개의 온플법이 계류 중으로, 정치권을 중심으로 해당 논의가 진행 중이다. 이에 올해 국감에서도 네이버·카카오를 대상으로 한 '포털 때리기'가 재현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다.

    학계에서는 정부의 획일적인 플랫폼 규제 움직임이 새로운 혁신을 저해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온라인 플랫폼 시장의 자율성을 지키는 선에서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또한 해외 입법 사례를 모방하는 것이 아닌 장기적인 측면의 규제 법안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최윤정 연세대 교수는 "실제로 플랫폼 시장은 하나의 이론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만큼, 사례별로 어떤 변화가 지속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엄밀한 분석과 평가를 바탕으로 규제를 고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