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대비 1월 공공서비스 물가상승률 2.2%… 일반적으로 0~1% 내외전달 대비 1월 공공서비스 물가상승률 1.0%… 전체 물가상승률 0.4%1월 물가 상승 기여도는 버스비, 택시요금, 외래진료비, 도시철도료 순"곧바로 요금 상승은 안할 것… 생산비용 상승으로 물가 상승은 지속 전망"
-
26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1월 공공서비스 물가는 작년보다 2.2% 올랐다. 이는 2021년 10월 6.1% 상승 이후 27개월 만에 기록한 가장 큰 상승 폭이다. 당시에는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대국민 휴대전화 요금 지원 기저효과로 인해 상승 폭이 컸다.
2021년 10월을 제외하면 글로벌 금융위기를 맞았던 2009년 10월 2.3%를 기록한 이후 14년3개월 만에 가장 컸다. 공공서비스 물가는 정부·지자체의 직간접적 관리를 받기에 0∼1% 내외에서 등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달과 비교하면 1월 공공서비스 물가 상승률은 1.0%로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 폭인 0.4%를 크게 웃돌았다. 마찬가지로 2020년 11월 휴대전화 요금 지원에 따른 기저효과(4.8%)를 제외하면 2015년 7월(1.0%) 이후 가장 큰 상승률을 보였다.
1월 공공서비스 물가 상승은 외래·입원진료비 등 병원비와 시내버스·도시철도 등 대중교통 요금이 주효했다. 공공서비스를 구성하는 30개 항목의 1월 물가 상승 기여도를 보면 시내 버스비가 가장 컸고 택시요금, 외래진료비, 도시철도료, 치과 진료비, 입원진료비 등 순이었다.
대전 시내버스 요금은 1월 1일부터 1500원으로 기존 1250원에서 250원 올랐다. 대구 시내버스·도시철도 요금도 지난달 13일부터 1250원에서 1500원으로 인상됐다. 이에 시내버스 물가는 지난해 대비 11.7% 올라 전달(11.1%)에 이어 상승세를 키웠다.
외래진료비는 1월 수가가 인상되면서 지난해보다 2.0% 올랐다. 입원진료비 역시 1.9% 상승했다. 이는 2017년 1∼9월(1.9%) 이후 7년 만에 기록한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이다.
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해 상반기 공공요금 동결 기조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다만 물가 상승 압력의 누계로 동결을 낙관하기는 힘든 상황이다.
최철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는 "고물가 상황에서 공공운용에 대한 원가가 인상되다 보니 지자체가 최종 서비스 가격을 고려할 때 영향을 받게 됐다"면서 "공공물가가 상승하면서 대중교통이나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일반 시민들에게는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올해 초에 공공요금을 큰 폭으로 상승시킨 만큼 곧바로 요금을 재차 올리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원자잿값 인상 등으로 인한 생산비용 상승이라는 대세적 요인이 해소되지 않는다면 물가 상승 부담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