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만에 영업이익 92% 감소, 존폐위기협회 주축 비상경영대책회의체 구성
  • ▲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KCTA)가 회원사들이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있다며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한다.

    13일 KCTA에 따르면 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MSO)의 방송부문 영업이익은 2018년 2334억원에서 2022년 192억원으로 5년 만에 92%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방송통신위원회가 발행한 ‘2023년 방송시장경쟁상황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MSO의 방송 부문 영업이익률은 2018년 12.6%, 2019년 11.1%, 2020년 5%, 2021년 2.5%, 2022년 1.2%로 지난 5년간 누적 11.4%p 하락했다.

    MSO 중 A사는 2023년 영업이익이 50억원으로 전년 대비 55.6% 하락했다. B사는 2022년 방송사업 부문 영업이익률이 –3.5%로 적자를 기록했다.

    KCTA는 회원사들이 방송규제와 편성의무로 인해 이중고를 겪고 있다고 호소하고 있다. 케이블TV는 지역 단위 허가사업자로 IPTV와 OTT 등 경쟁사업자 대비 다양한 규제를 적용받고 있으며, 30여 년 전 부여받은 지역채널 운용 의무로 인해 투자비도 매년 증가한다는 설명이다.

    업계에서는 이익 감소 추세를 고려했을 때 방송 관련 적자 폭이 더욱 확대되어 케이블 산업이 존폐 위기에 놓일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케이블TV가 지상파와 종편, PP 등에 지급하는 총 콘텐츠 사용 규모는 2022년 기준 5336억 원으로 총수신료 매출 대비 86.8% 수준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지상파 채널의 시청률이 지속해서 하락하면서 인접 홈쇼핑 사업자가 케이블TV에 지급하는 송출 수수료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송신료 인상 요구는 계속되면서 케이블TV의 경영상황은 더욱 악화되는 추세다.

    케이블TV 업계는 비상경영을 선포해 위기를 함께 풀어나갈 방침이다. 최근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를 주축으로 ‘비상경영대책회의체’가 구성됐다. 케이블TV의 경쟁력 강화와 재도약을 위해 업계가 머리를 맞대 합리적인 결론을 도출하자는 취지다.

    케이블TV 관계자는 “수년째 가입자 감소에 실적 악화까지 겹쳐 생존을 논할 만큼 위기감이 팽배해지고 있다”며 “비상경영대책회의를 통해 케이블TV 업계를 되살릴 방안 모색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