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지급 할인액, 2조8천억… 이통3사 영업익 절반 이상 차지자급제폰 증가도 한몫… 중형요금제 고객 대규모 이탈 가능성도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지난 5일부터 갤럭시 S10의 첫 개통이 시작됐지만, 통신업계 분위기는 썩 달갑지 않은 모양새다.

    25% 요금할인이 유리해 선택약정할인을 택하는 고객들이 주를 이룰 뿐더러, 자급제폰을 주문하는 고객들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공시지원금의 경우 제조사와 이통사가 공동으로 비용 부담을 하지만, 선택약정할인제는 전적으로 해당 이통사가 모두 지원하는 구조다. 때문에 이달 말 출시를 앞두고 있는 삼성의 첫 5G폰 '갤럭시S10 5G'와 폴더블폰 '갤럭시 폴드' 판매가 시작되면 이통사들의 수익악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갤럭시S10 개통 첫 날인 5일 이동통신사를 통해 개통된 갤럭시S10 개통량은 14만대로 추정되고 있다. 여기에 자급제를 통해 개통된 수량 4만 여대를 포함하면 총 18만대라는게 업계의 설명이다.

    업계는 개통 고객 대부분이 공시지원금 대신 25% 요금할인을 선택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선택약정의 할인액이 공시지원금보다 거의 2배 이상 높아, 이를 선택하는 고객이 당연히 많을 것이란 분석이다.

    이통사 입장에선 골치 아픈 일이 아닐 수 없다. 물론 통신사를 통해 고객들이 스마트폰을 구매를 하면 그만큼의 수익이 나지만, 선택약정을 통해 지원하는 할인액이 너무 커 수익악화가 불가피하다.

    실제 이통사들은 선택약정 가입자 증가로 실적 하락세가 지속되며, 무선수익 악화가 심각한 수준이다.

    선택약정 증가 탓에 SK텔레콤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21.8% 감소한 1조2018억원, KT는 8.3% 감소한 1조2615억원, LG유플러스 역시 11.5% 감소한 7309억원을 기록했다.

    업계는 이 같은 흐름으로 추산해 볼때, 선택약정으로 이통사들이 가입자에게 지급해야하는 연간 할인 총액은 2조 7000억 ~ 2조 8000억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는 이통3사의 지난해 영업이익(3조1942여억원)을 합친 금액의 절반 이상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게다가 기존 폰보다 고사양이 탑재되는 '갤럭시S10 5G', '갤럭시 폴드'는 물론, 출시를 앞두고 있는 5G 아이폰 시리즈까지, 스마트폰 가격이 200만원 시대로 치닫고 있어 이통사들의 부담액은 더 커지고 있다.

    업계는 선택약정할인과 같은 이통3사의 가계통신비 인하 노력에도 불구, 단말 출고가 상승에 잠식되어 고객이 체감하는 가계통신비는 오히려 상승했다는 지적이다.

    다시말해, 지난 2017년 9월 이통사의 선택약정할인율은 상향(20% → 25%)됐지만 이후 출시된 단말 출고가의 상승폭이 이를 상쇄해, 고객 월 부담액은 오히려 상승하는 상황이 발생했다는 것.

    통신업계는 고객이 체감하는 가계통신비 인하를 실현하기 위해, 그리고 추가적인 5G 인프라 구축을 위해선 단말 출고가 상승을 억제하는 규제가 병행되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통신업계 한 관계자는 "5G 선도를 위해선 이통사의 대규모 투자를 지원해줄 수 있는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선 천정부지로 올라가고 있는 단말 출고가 억제도 거시적인 한가지 방안이 될 것이다. 3월 국회에서 이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뿐만이 아니다. 자급제 주문 물량도 늘어나는 추세라 통신업계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자급제폰을 선택할 경우 단말만 구입해 값싼 요금제를 선택할 고객들이 늘어날 수 있는 만큼, 기존 이통사 중형요금제를 선택한 고객들의 손실 가능성도 있다.

    자급제 단말기를 구매해 유심요금제에 가입하면 기존 이통사들의 중형요금제 대비 요금부담을 최대 40%까지 줄일 수 있다는게 업계의 설명이다.

    또 다른 통신업계 관계자는 "프리미엄폰 가격 상승과 자급제폰 확대로 이통사들의 수익 감소세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며 "갤럭시S10 '판매 호조'의 배가 들어오는데, 노 젓기가 무섭다"고 하소연했다.

    이어 "5G폰 상용화에 맞춰 요금제 상승이 불가피 하지만, 이 역시도 국민여론으로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여러모로 이통사들의 수익 감소가 지속되는 상황 속 정책적인 활로 모색의 길을 열어주어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