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우조선해양이 해양플랜트 유동성 위기에 봉착하면서 자금 확보 방안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연합뉴스
    ▲ 대우조선해양이 해양플랜트 유동성 위기에 봉착하면서 자금 확보 방안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연합뉴스

     

    해양플랜트 인도 지연으로 유동성 위기에 처한 대우조선해양이 이달 중순까지 채권단에 자금 확보 방안을 제출하기로 했다. 특수선사업부(방위산업 부분)를 분리한 뒤 기업공개(IPO)하는 일정을 앞당기고, 채권유동화로 현금을 미리 끌어다쓰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인력 감축도 계획했던 것보다 더 빠르게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7월 채권단과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대우조선은 회생을 위한 자구계획 이행에 박차를 가하는 등 유동성 위기를 벗어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앙골라 국영석유회사 소난골이 발주한 드릴십(이동식 시추선) 2척의 인도가 늦어져 1조원을 못 받고 있는 가운데 9월부터 회사채, 기업어음(CP) 등의 만기가 줄줄이 돌아오기 때문이다.

    대우조선 측은 일단 급한 불은 끈 상태다. 4개 발주처로부터 4억7000만달러(약 5200억원) 규모의 선박 건조대금을 인도 전에 미리 받아 다음 달 만기가 도래하는 4000억원 규모의 CP를 상환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1조원이 묶인 소난골 인도 지연이 해결되지 않는 이상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는 지적이다. 내년에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는 9400억원 규모로, 현대중공업(6800억원)이나 삼성중공업(6000억원)보다 크게 높은 편이다.

    게다가 기수주한 해양플랜트는 올 하반기부터 내년에 인도가 집중돼 인도 지연이 추가로 발생할 경우 현금흐름이 더 나빠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에 대우조선과 채권단은 2018년까지 분할, 상장하기로 계획했던 특수선사업부 분할 일정을 앞당기기로 했다. 연말까지 자회사로 분리한 뒤 시장 상황을 보고 IPO를 한다는 계획이다. 주식을 상장하면서 지분 일부를 시장에 매각해 부족 자금을 조달한다는 계산이다.

    또한 회사가 보유한 채권은 묶어서 유동화하기로 했다.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1~2년 뒤에나 받을 수 있는 돈을 미리 확보할 수 있다. 대신 매출채권을 정상가보다 싼 가격으로 매각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인력 구조조정을 예정했던 것보다 빠르게 진행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앞서 대우조선은 직영인력 감축과 외주화로 2018년까지 5590억원을 줄이기로 한 바 있다.

    이밖에 선박 인도시 수주액의 대부분(60~80%)을 받는 '헤비테일(heavy tail)' 방식을 바꿔 잔금 일부를 빨리 받아내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대우조선 측은 선박 인도가 확실시되거나 건조가 많이 진행된 배에 대해서는 공정률에 따라 자금을 받을 수 있도록 발주처와 협의를 벌이고 있다.

    한편 대우조선에 대한 검찰 수사가 현직 경영진까지 확대되면서 자체 자금 확보는 좀 더 급박해졌다. 현직 경영진에 대한 분식회계 의혹이 사실인지 가려질 때까지 채권단 지원을 잠정 중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어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