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노조, 금요일 4시간 근무 전면에포소코 노조, 의료비 상한 1억 추진업황 악화에도 무리한 요구 잇따라
-
주요 기업들이 2024년도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교섭을 앞두고 있다. 다만 일부 노조에서 무리한 요구안을 들고 나오면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코로나19 시기에 노사가 위기 극복을 위해 상생에 나선 것과는 다른 양상이다.우선 현대자동차 노조는 이달 8~9일 임시 대의원대회를 열어 올해 임단협 요구안을 확정지었다.노조는 ▲기본급 15만9800원(호봉승급분 제외) 인상 ▲전년도 순이익 30% 성과급 지급 ▲상여금 900% 인상을 비롯해 ▲매주 금요일 4시간 근무제 도입(주 4.5일제) ▲국민연금 수급과 연계한 정년 연장 등을 요구안에 담았다.기아 노조는 요구안을 최종 확정 짓지 못했지만 현대차 노조와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점쳐진다.노조는 최근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진보당 등 야당에 주 4.5일제 법제화 추진을 요구하는 공문을 발송했다. 게다가 현대차 노조와는 별도로 ‘퇴직자 차량할인 30% 혜택’ 복원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포스코 노조도 이달 14일 임단협 초기안을 조합원들에게 배포했다. 초기안에는 ▲기본급 8.3%(평균 25만4810원) 인상 ▲연봉제·호봉제 폐지 및 매년 2.4% 일괄 임금 인상과 함께 ▲본인 및 가족 연간 1억원 한도 의료비 지원 등이 포함됐다.이에 대해 자동차, 철강 업계에서는 “과도하다”는 반응이다. 업황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노조가 ‘일단 지르고 보자’ 식으로 요구안을 내놨다는 것이다.현대차, 기아는 2022년, 2023년 2년 연속으로 역대급 실적을 달성했지만 경기침체 여파로 올해 피크아웃이 우려되고 있다. 실제로 올해 1~4월 양사는 내수 부진을 겪으면서 전년동기 대비 글로벌 판매 대수는 감소세를 나타냈다.
-
철강 업계는 2020~2021년의 짧은 호황 이후 침체 국면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포스코홀딩스의 영업이익은 2021년 9조2381억원에서 2022년 4조8501억원, 2023년 3조2514억원으로 해마다 줄었다. 올해도 3조원대 초반에 그칠 것으로 관측된다.또한 ‘실현 가능성 낮은’ 요구 내용이 포함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대차 노조는 전년도 순이익의 30%를 성과급 지급하라고 요구하고 있다.현대차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12조2723억원이다. 만약 노조 요구를 수용하면 현대차는 성과급 비용으로만 3조~4조원을 지출해야 한다. 1인당 약 5000만원 규모다.현재 글로벌 자동차 업계는 전동화 트렌드로 급변하고 있다. 여기에 BYD, 샤오미 등 중국 업체들이 전동화 경쟁력을 높여나가면서 입지를 급격하게 키우고 있다.현대차, 기아가 미래 모빌리티 주도권 확보를 위해서는 대규모 투자가 절실하지만 성과급으로만 수조원을 소요하는 건 미래를 포기하는 것과 다를 바 없다.포스코 노조가 주장하는 매년 일괄 임금 인상, 연간 1억원 한도 의료비 등도 사실상 사측이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으로 분석된다. 오히려 기아 노조의 퇴직자 평생 할인과 같이 국민적 반감만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게다가 주 4.5일제가 ‘실질적인 임금 인상’을 위한 카드라는 의견도 나온다. 현대차, 기아 근로자들이 금요일 4시간 근무 후 추가 근무를 통해 특근 수당을 받아 연봉 상승을 이루려는 의도라는 것이다.그렇다고 생산성 향상이나 혁신에 대한 고민이 없다 보니 ‘귀족 노조’라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상황이다.노조가 조합원들의 권익을 위하는 건 당연하다. 그러나 지도부의 선명성 강화, 입지 확대를 위해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들을 내밀면서 분쟁을 조장한다면 여론 약화는 불가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