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정무위 국감서 금융위 소극적 교육 질타29세 이하 및 60대 이상 '금융이해력' 크게 취약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청년층과 노년층에 대한 금융교육이 일회성에 그치는 등 여전히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30대 미만 청년층과 60대 이상 노년층에 금융 문맹이 많은 만큼 체계적인 금융교육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국회 국정감사를 한 달 앞둔 가운데 정무위원회가 지난해 지적한 금융위원회의 청년층과 노년층 금융교육 강화가 여전히 미흡하다는 평가를 내렸다.

    정무위는 금융위가 금융감독원, 예금보험공사, 서민금융진흥원 등 산하기관을 통해 다양한 금융교육 시행을 위해 노력한 것으로 평가했지만 실효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다소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금융교육은 여러 기관에서 산발적으로 시행하고 있고, 대부분 금융교육이 일회성에 그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국민의 금융이해력 수준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 중위권이지만, 성인 절반 정도가 최소 수준에 미달하는 등 미흡한 것으로 저평가받고 있다.

    한국은행과 금감원의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금융이해력은 66.2점으로, 16개 OECD 회원국의 평균(64.9점)을 소폭 웃돌았다.  

    그러나 OECD 최소목표점수(66.7점)를 충족하는 응답자의 분포비중은 절반(52.3%)밖에 미치지 못했다. 

    금융이해력 수준이 가장 높은 곳은 프랑스(71.0점)였다. 다음으로는 핀란드(70.5점), 캐나다·노르웨이(69.5점) 등 순이다.
  • ▲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특히 30~50대는 높은 금융이해력 수준을 보인 반면 29세 이하 청년층과 60대 이상 노년층은 매우 취약했다.

    OECD 최소목표점수 충족 분포비중을 연령대별로 보면 30~40대가 65%를 기록했고, 29세 이하(38.5%)와 60대(42.4%), 70대(22.5%)는 매우 낮았다. 

    20대 대학생, 취업준비생, 사회초년생은 금융사기나 투자위험 등에 노출되는 경우가 더 많았다. 취업 후 필요한 월급관리 등 재무 전반에 대한 기초지식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감원 조사 결과, 지난해 대포통장 명의인 중 24.4%가 20대였다. 금융투자자보호재단 조사 결과, 20대의 가상화폐 투자 경험이 22.7%로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다.

    정무위는 "이러한 조사결과를 보면 우리나라에선 청년층과 노년층에 대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금융교육이 필요하다"며 "여러 기관이 대부분 일회성으로 운영하거나 중복되는 금융교육을 통합하고, 학교 교육 및 평생교육과 연계해 금융교육의 효과를 제고시킬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이와 함께 금융위에서 시행 중인 금융교육과 한국은행이 운영하는 경제교육의 효율적인 진행을 위해 관련 정책 수립 시 상호 협의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동안 금융위는 청년층과 노년층 금융교육을 강화하라는 정무위의 시정 및 처리 요구에 따라 수요자 맞춤형 교육을 추진해왔다.

    대학 실용금융 강좌, 대학생 금융특강, 사회복무요원, 신입사원 등 청년층 대상과 대한노인회, 노인복지관, 노인대학, 경로당 등에서 노년층 대상 금융교육을 시행했다.

    지난해 청년층 금융교육 실적을 보면 금융감독원 10만1880명, 서민금융진흥원 1만867명, 투자자교육협의회 1500여명 등을 교육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층 실적은 금감원 1만356명, 예금보험공사 1만2080명, 서민금융진흥원 5854명, 투자자보호재단 60명, 청소년금융교육협의회 226명 등이다.

    금융위는 향후 금융교육협의회를 통해 금융교육기관의 청년층과 노년층 금융교육이 확대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예비군, 취업준비생 특강 등 청년층 교육접점을 확대하고 노인복지관, 대한노인회와 연계해 금융사기 예방 등 노인 대상 맞춤형 금융교육을 시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