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 올해 들어서만 7%대 급등금융 위기 때 6% 안팎보다 커 ‘이례적’정부 “비상대응반 가동, 단호히 대처”
  • ▲ G20재무장관회의 및 IMF/WB 춘계회의 참석차 미국 워싱턴D.C.를 방문중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8일 저녁(현지시간) 워싱턴D.C.와 정부서울청사간 화상회의로 기재부 주요간부들과 대외경제점검회의를 개최, 중동사태 관련 부문별 동향을 점검하고 대응계획 등을 논의하고 있다. ⓒ기재부
    ▲ G20재무장관회의 및 IMF/WB 춘계회의 참석차 미국 워싱턴D.C.를 방문중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8일 저녁(현지시간) 워싱턴D.C.와 정부서울청사간 화상회의로 기재부 주요간부들과 대외경제점검회의를 개최, 중동사태 관련 부문별 동향을 점검하고 대응계획 등을 논의하고 있다. ⓒ기재부
    원/달러 환율이 올해 들어서만 7%대 급등하며 글로벌 금융위기(2008~2009년) 당시를 웃도는 상승폭을 기록하고 있다. 중동 긴장이 최고조에 이른 가운데 경제당국은 긴급회의를 열며 외환금융 시장 변동성에 대한 경계 태세를 강화하는 모습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1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1382.2원에 거래를 마치며 1400원선을 위협하고 있다. 작년 말 종가(1288.0원)보다 7.3% 상승한 수치로, 연초 3개월여 기간에 7%를 뛰어넘는 급등세를 보인 것은 이례적이란 분석이다.

    실제 1990년 3월 시장평균환율제(1997년 12월 자유변동환율제)가 도입된 이후로 같은 기간 최대 상승폭을 나타내고 있다.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과 2009년에는 같은 기간 6.9%, 5.8% 각각 상승했다. 외환위기 사태가 불거진 1997년에도 1~4월 6% 안팎 상승한 바 있다.

    그해 11월 중순 국제통화기금(IMF)에 자금 지원을 요청한 이후로 환율이 달러당 1000원 선에서 연말 2000원 부근으로 단기 폭등하고, 연간으로도 100% 이상 치솟은 것을 고려하면 외환위기 사태 이후의 최대 상승폭을 보이는 셈이다.

    원/달러 환율 상승은 근본적으로 달러화 강세에 따른 것이다. 유로, 일본 엔, 영국 파운드, 스위스 프랑, 캐나다 달러, 스웨덴 크로나 등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지표인 달러 인덱스는 같은 기간 4.8% 상승했다.

    미국 경제가 나홀로 호황을 이어가면서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하가 지연될 것이라는 전망이 강해진 것이 영향을 미쳤다. 통상 고금리는 통화가치 상승으로 이어진다.

    여기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무력충돌에 이어 이스라엘-이란 대립까지 지정학적 리스크가 겹친 것도 안전자산인 달러 수요를 자극하고 있다. 이러한 달러가치 상승분을 고려하더라도 원화가치가 7% 넘게 떨어진 것은 2.5%가량 초과 낙폭이라는 해석이다.

    원화가치 낙폭은 연준이 달러지수를 산출할 때 활용하는 주요 교역국 26개국 가운데 칠레(10.0%), 일본(9.8%), 스웨덴(9.0%), 스위스(8.5%), 브라질(8.1%), 아르헨티나(7.6%)에 이어 7번째로 높은 수치다.

    경제당국도 19일 오전(현지시간 18일 밤) 미국 워싱턴D.C.에서 정부서울청사와 화상연결을 통해 기획재정부 주요 간부들과 ‘긴급 대외경제점검회의’를 열고 중동사태와 관련한 동향 점검과 부문별 대응계획 등을 논의하며 경계 태세에 돌입했다.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긴급 화상 회의에서 이스라엘의 이란 본토에 대한 재보복 공격으로 외환시장 불안이 커진 데 대해 “우리 경제 펀더멘탈과 괴리된 과도한 시장 변동에 대해서는 즉각적이고 단호하게 조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사태로 우리 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그 어느 때보다 높은 경계감을 가지고 범부처 비상대응체계를 강화해달라”며 “현재까지 에너지·수출입·공급망·해운물류 부문에서 직접적 차질은 없으나 주말에도 관계기관 합동 비상대응반을 가동해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상황 전개에 따라 부문별 비상대응반을 통해 더욱 밀도 있게 대응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