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소 설치비 1기당 30억… 압축기 등 핵심부품 수입 의존정부, 수소경제 띄우지만 주민 불안 커… 부지 확보 난항차량 등록·충전소 설치현황 부처마다 제각각… 정보 공유 안 돼
  • ▲ 수소차 충전 시연.ⓒ연합뉴스
    ▲ 수소차 충전 시연.ⓒ연합뉴스
    정부가 수소경제 시대 도래에 따라 수소차 인프라 확산에 열심이지만, 충전소 장비의 낮은 국산화율과 입지 관련 민원, 부처 간 칸막이가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26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연내 수소차 보급 확대방안이 나올 예정이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은 지난달 29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2020년 노선버스 1000대를 수소버스로 바꾸는 것을 시작으로 (노선버스를) 전면적으로 수소버스로 전환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국토부는 애초 이달 안에 확대방안을 내놓겠다고 했으나 내년 관련 예산과 맞물려 늦춰지는 분위기다.

    국토부는 수소버스가 본격 양산하는 시점을 후년 8월께로 보고 수도권 광역버스 중 대·폐차할 차량을 우선하여 노선버스 1000대를 수소버스로 전환한다는 구상이다. 내년 소량 주문제작방식으로 시범사업을 벌이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하지만 수소차 확산에 걸림돌도 적잖다. 먼저 핵심 인프라인 수소충전소 부품·장비의 낮은 국산화율이 문제로 지적된다.

    국내 수소승용차는 국산화율이 99% 수준으로 알려졌다. 수소버스 국산화율은 60~70%대다. 반면 수소충전소는 국산화율이 40%에 그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부 설명으로는 고압탱크에 수소를 보관할 때 사용하는 압축기 등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수입 부품은 수작업으로 제작하는 탓에 물량 확보가 쉽지 않은 편이고 장비를 확보하려면 공수해 와도 한 달쯤 걸린다"고 설명했다.

    현재 환경부가 50%를 지원하는 수소충전소 1기 설치 비용은 30억원쯤이다. 국산화 정도는 설치비용을 내리는 데 필수적인 요소다. 산업부 한 관계자는 핵심 인프라인 수소충전소의 낮은 국산화율에 대해 "수소가 뜬지가 얼마 되지 않는다"며 "올해부터라고 봐도 무방하다"고 했다. 정부 차원에서 혁신성장을 위해 수소차를 8대 선도산업의 하나로 띄우고 있지만, 준비가 덜 돼 산업기반이 약하다는 설명이다.

    정부가 수소경제를 강조하고 있으나 수소충전소 등에 관한 대국민 소통에는 관심이 덜하다 보니 관련 민원이 인프라 확산에 발목을 잡는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수소충전소 1기를 설치하는 데 보통 1년쯤 걸린다"며 "공사 소요 기간은 3개월쯤이지만, 관련 민원을 해결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부연했다. 이어 "수소충전소를 설치하려면 인근에 학교 등이 없어야 해 입지를 선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면서 "수소는 공중에 노출되면 날아가 버려 오히려 안전한 데도 민원이 많이 발생해 사업이 늦어지는 주된 사유"라고 덧붙였다. 지방자치단체는 민원을 피하려고 기존 천연가스(CNG) 충전소 내에 사업부지를 확보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 ▲ 김현미 국토부 장관.ⓒ연합뉴스
    ▲ 김현미 국토부 장관.ⓒ연합뉴스
    부처 간 칸막이도 걸림돌로 꼽힌다. 수소충전소 설치사업은 국토부와 환경부, 산업부, 지자체 등 여러 주체가 얽혀 진행된다. 고속도로 휴게소 설치는 국토부와 한국도로공사, 고속도로 이외 지역은 환경부와 지자체 사업으로 크게 이원화돼 있다.

    하지만 국토부와 환경부, 산업부는 수소차 등록이나 수소충전소 설치 현황 자료조차 공유하지 않는 실정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환경부가 보조금을 준 설치현황만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부처 간 정보 공유도 미흡하다. 수소차와 충전소 국산화율과 관련해 국토부는 수소버스의 국산화율을 99%, 수소충전소는 50%쯤이라고 설명했다. 산업부는 이를 각각 60~70%와 40%로 정정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차량 국산화율 99%는 수소버스가 아니라 수소승용차를 말한 것 같다. 수소충전소 국산화율도 더 낮다"며 "국토부에서 (수소차 확대방안을 내놓겠다고 했으나) 기술개발 현황은 잘 모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