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자율운항선박 세계시장 50% 점유 4차산업 기술도입 9대 핵심과제 중점 추진인공지능·사물인터넷 항만·수산업에 접목
  • ▲ ⓒ해수부 제공
    ▲ ⓒ해수부 제공
    해양수산부가 11일 해양수산 스마트화 추진 전략을 내놨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한 해상 운송·물류 인프라 구축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해수부는 이날 ▲2030년까지 자율운항선박 세계시장 50% 점유 ▲스마트양식 50% 보급 ▲사물인터넷 기반 항만 대기질 측정망 1000개소 구축 ▲해양재해 예측 소요시간을 12시간에서 4시간으로 단축 ▲해양수산 통합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등을 목표로 향후 해양수산 산업 핵심과제를 발표했다.

    우선 해운·항만 분야의 경우 해상운송 체계 지능화 및 해상 물류서비스 혁신이 본격 추진된다. 이를 위해 자율운항선박의 개발과 상용화에 맞춰 스마트항만, 초연결 해상통신, 고정밀 위치정보 등 스마트 해상물류 인프라 서비스를 구축키로 했다.

    해수부는 먼저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을 산업부와 함께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2025년까지 IMO(국제해사기구) Level 3 수준의 자율운항선박을 개발하고, 후속 연구개발을 통해 2030년까지 Level 4 수준의 완전무인 자율운항선박 개발을 추진한다. IMO의 자율화등급은 Level1 선원 의사결정 지원, level2 선원 승선, 원격제어 가능, Level3 선원 미승선(또는 최소인원), 원격제어, 기관 자동화, Level4 완전무인 자율운항로 나뉜다.

    이와 함께 자율운항선박의 운항에 필요한 입·출항 관리, 운항지원센터, 최적 하역, 연료 충전 등을 지원하는 차세대 항만운영 체계도 구축한다. 또 초대형·자율운항선박에 적합한 항만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하고, 사물인터넷·인공지능 기술로 항만 내 모든 작업과 물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 가능한 지능형 항만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수산 분야에서는 수산물의 생산·가공·유통 등 전 과정에 스마트 기술을 도입한다.

    스마트 어업관리 모델을 통해 어종·어획량 등의 정보를 해상에서 실시간으로 입력하는 전자어획보고시스템, 어선의 어획량과 어종별 크기·무게 등을 양륙단계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확인하는 TAC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개발·적용할 계획이다.

    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시킨 지능형 CCTV 기반의 인공지능 옵서버를 개발, 어선에 탑재한다. 옵저버를 탑재하면 어획량, 어종, 불법조업 여부 등을 실시간으로 분석가능해진다. 인공지능 옵서버는 2025년까지 모든 근해어선(2,700여척)에 탑재하고 이후 연안어선 등으로 점차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소비자가 온라인에서 수산물 영상을 확인하고 바로 주문하는 '캠(Cam) 마켓'도 구축한다. 해수부는 2020년부터 매년 5개소씩 캠 마켓을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물인터넷 등 스마트 기술을 활용해 여객선, 낚시어선 등 소형 선박 안전관리도 강화된다. 해수부는 선박 충돌사고 예방 등을 위해 위험구역 진입 시 경계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과속운항 주의경보·단속시스템도 주요 해상교통 혼잡구역 및 사각지대에 구축할 계획이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해양수산 스마트화 전략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미래 먹거리를 해양수산업이 만들어가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