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외교 돌입강대국 군침 흘리는 황금시장, 한국기업 진출 총력전한강의 기적 메콩강으로… 필리핀·말련 FTA도 기대
  • ▲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부산 벡스코에서 'CEO 서밋'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부산 벡스코에서 'CEO 서밋'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막을 시장으로 아세안 정상외교 일정에 돌입했다.

    한-아세안 대화관계 수립 30주년을 기념해 마련된 이번 '특별정상회의'는 문재인 정부가 마련한 최대 규모의 다자외교 행사다.

    문 정부는 이번 행사를 통해 아세안과의 관계를 미국, 일본, 중국 등 주변 주요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주형철 청와대 경제보좌관은 "이번 특별정상회의에 참여한 한국을 포함한 11개 국가가 모두 정상회의를 가지는 등 협력 확대를 위한 활발한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며 "아세안과 협력을 통해 우리가 4만불 시대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인구 6억5천만명, GDP 3조달러 육박… 황금알 낳는 시장

    베트남, 필리핀,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미얀마, 태국, 브루나이, 캄보디아, 라오스.

    아시아국가연합 아세안은 10개 국가가 모인 동남아 국제기구로 총인구 6억5000만명, GDP가 2조9860억달러에 달하는 시장이다.

    2015년 쿠알라룸푸르 선언을 통해 아세안경제공동체(AEC)를 출범시켰고, 2025년까지 아세안공동체(ASEAN Community)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1인당 GDP는 4593달러 수준으로 아직 발전 가능성이 더 많은 잠재력 높은 시장이라는 점이 매력적이다.

    아세안 국가 인구 중위 연령은 29세. 젊은 인구와 주변국들의 전폭적인 투자로 연평균 5%대의 가파른 성장을 기록하는 곳이다.

    주 경제보좌관은 "아세안의 경제규모는 세계 5위로 우리에겐 좋은 파트너가 될 수 있다"며 "미국과 중국에 편중돼 있는 교육을 다변화하는 기회의 땅"이라고 설명했다.
  • ▲ 문 대통령이 지난 9월 '한·메콩 비전'을 발표하고 분냥 보라치트 대통령과 기념식수하고 있다.ⓒ청와대
    ▲ 문 대통령이 지난 9월 '한·메콩 비전'을 발표하고 분냥 보라치트 대통령과 기념식수하고 있다.ⓒ청와대
    미국보다 많은 교역량, 연간 방문자만 1100만명

    한국에게 아세안은 중국 다음으로 무역 규모가 큰 곳이다. 지난해 기준 중국과의 전체 무역액은 2686억 달러이며 아세안은 1598억달러에 달했다. 미국과의 교역은 1316억달러 수준이었다.

    아세안에 대한 수출 규모는 2016년 743억달러에서 2018년 1000억달러로 크게 증가했고 무역흑자는 406억달러를 기록했다.

    한국 기업의 진출도 활발하다.

    2018년말까지 현지법인이 1만4680개(누적 기준)에 달한다. 현대자동차는 인도네시아에 생산공장 설립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베트남과의 교역 증가는 두드러진다. 2011년 중국이 단순 조립가공무역에서 탈피해 수입대체전략을 본격화함에 따라 중국시장에서 임금이 지속적으로 상승해 상대적으로 임금이 저렴한 베트남으로 제조업 생산설비 투자가 크게 확대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한국을 찾은 아세안 국가 방문객은 246만명, 반대로 한국인이 아세안을 찾은 사례는 898만명에 이른다. 연간 상호 방문자만 1100만에 달하는 활발한 인적교류가 이뤄지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부산에서 열린 '한-아세안 CEO 서밋'에 참석해 아세안 국가 기업들과 혁신성장을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이날 행사에는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SK이노베이션 등 우리측 165개 사 관계자와 아세안 측 60개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중국, 일본의 경쟁구도… 한국 경쟁력은?

    아세안이 전세계적으로 각광 받는 시장이다보니 인근 강대국 중국과 일본의 투자가 끊이질 않는 곳이기도 하다.

    가장 먼저 아세안에 관심을 가진 곳은 일본이었다. 일본은 역사적으로도 동남아 국가들과 각별한 관계를 맺어왔다.

    또 반중 정서가 강한 아세안 국가들의 역사를 집중 공략, 1970년대 부터 진출에 공을 들여왔다.

    반대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일대일로 정책의 중요한 한 축으로 아세안이 떠오른 이후 중국은 '차이나 머니'를 통한 물량공세를 퍼붓기 시작했다.

    중국과 아세안의 교역규모는 5천억달러, 일본 2300억달러의 두배 수준이며 한국과 일본 교역량을 모두 합쳐도 중국에 미치지 못한다.

    하지만 이 같은 중국과 일본의 경쟁구도가 한국에게는 유리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미중 갈등 속에서 어느 한쪽 편을 드는 것이 부담스러운 아세안 입장에서 한국은 헤게모니가 아닌 '윈-윈'할 수 있는 파트너로 인식된다는 얘기다.

    주 경제보좌관은 "중국은 일대일로 전략, 일본은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의 연장선상에서 아세안을 바라보고 있다"며 "이런 가운데 아세안의 입장에선 어딜 선택해야 하는데 굉장히 부담스럽게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한국은 식민 지배를 딛고 최빈국에서 성장한 롤모델"이라며 "아세안 국가들은 그 점을 높이 평가하고 있고 받아들이려는 정서를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이날 특별정상회의에서 "한국은 아세안의 친구를 넘어 함께 성장하는 공동체가 될 것"이라며 "한국과 함께라면 더빨리, 더멀리 성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 문재인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와 리센룽 싱가포르 총리 부인 호칭 여사가 23일 서울 종로구 창경궁에서 친교 산책을 하고 있다.ⓒ청와대
    ▲ 문재인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와 리센룽 싱가포르 총리 부인 호칭 여사가 23일 서울 종로구 창경궁에서 친교 산책을 하고 있다.ⓒ청와대
    메콩강 5개국 협력 확대, 필리핀, 말레이시아 FTA 타결도 기대

    아세안 10개 국가는 크게 메콩강 유역을 둘러싼 태국, 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5개국과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남중국해 도서국가로 나뉜다.

    정부는 메콩강 유역 5개국을 상대로 한강의 기적을 상품처럼 세일즈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번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계기로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도 연이어 개최된다.

    아세안 전체 국가 중 절반 이상의 교역량을 자랑하는 베트남과의 관계 이상으로 다른 국가들과의 협력도 증진시키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경제개발 초기단계인 미얀마, 캄보디아, 라오스 등에 공적개발원조(ODA) 등 중장기 기본계획과 지원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문 대통령도 "우리가 가진 교통·에너지·스마트시티 분야 강점을 활용해 아세안의 인프라 건설을 돕겠다"고 밝혔다.

    필리핀이나 말레이시아와는 FTA(자유무역협정) 타결을 기대하고 있다.

    주 경제보좌관은 "아세안 국가 전체와 FTA 논의도 하는 한편, 개별 국가랑 맺는 FTA도 적극적으로 타진 중"이라며 "스마트시디 건설에 한국이 참여하거나, 회원국들과 FTA를 체결하는 방안도 결실을 맺을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