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선도회사 팝펀딩, 수백억 환매 중단사태증권사 어어 은행권도 칼날…신뢰도에 악영향치켜세운 정부·당국도 책임론…관제펀드 실패
  • 8월 제도권 편입을 앞둔 P2P(Peer to Peer)금융이 성패 갈림길에 섰다.

    대출자-투자자의 윈윈 수단이자 새로운 고수익 투자처로 꼽히며 혁신으로 평가받는 한편에서는 영세업체 중심의 사기에 이어 환매 중단 사태까지 발생해 보편성, 안전성을 갖춘 펀드상품으로의 발전까지 해결과제가 많다.

    1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때 금융위원장이 '금융 혁신 사례'로 치켜세웠던 P2P 업체 팝펀딩과 연계된 사모펀드 '자비스팝펀딩홈쇼핑벤더'와 '헤이스팅스더드림'에서 환매 중단 사태가 터졌다.

    라임사태가 부실 금융 상품을 저위험 상품인 것처럼 판매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에서 P2P발 사모펀드에서도 유사한 문제가 발생해 사태가 번지는 모양새다.

    피해(환매중단)규모에 대해서는 판매자와 투자자간 주장이 엇갈리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증권사는 물론 은행권에서도 해당펀드를 판매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은 커지고 있다.

    현재 팝펀딩은 자금 돌려막기, 자금 유용 등의 의혹이 불거져 나오고 있으며 금융감독당국 역시 일부 혐의를 확인해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이처럼 P2P 금융은 허위 상품이나 부실 공시를 비롯해 부실(원금 손실) 가능성이 큰 상품에 대한 높은 보상을 미끼로 투자를 유인한 후 문제가 발생하는 사례가 지속 발생하고 있다.

    8월이면 P2P 대출 업체를 제도권에 편입하는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법(온투법)이 시행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유명 P2P 연계 펀드의 사기 의혹과 연체율 급증 문제는 향후 투심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팝펀딩이 국내 P2P 대출 업계의 선도회사라는 점에서 이번 환매중단사태의 결과는 P2P 금융업계 전체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팝펀딩에 대해 금융당국과 정부가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메시지를 띄우며 흥행을 도왔다는 점 역시 논란의 소지를 안고 있다.

    지난해 11월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팝펀딩 파주 물류창고를 직접 방문해 '금융 혁신 사례'로 치켜세웠다.

    당시 팝펀딩이 동산 담보 금융 확대 등 정부 정책에 적극 나섰던 결과물이며, 당국은 기존 금융사 핵심 업무를 신생 핀테크 업체가 맡을 수 있도록 허가해주는 제도인 지정대리인으로 선정하기도 했다.

    특히 팝펀딩이 2012년 서울시장 선거 당시에는 이른바 '박원순 펀드'를, 2017년 대선에서는 '문재인 펀드'를 출시하는 등 정치적 색채를 보이며 이름을 알려왔다는 점에서도 의혹이 커지고 있다.

    증권업계 일각에서는 이번에 문제가된 펀드를 판매사인 한국투자증권이 신뢰성 향상과 충분한 검증을 내세우며 특정 업체·펀드를 추천한 부분도 지적했다.

    업계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라임사태로 인해 사모펀드 규제 풀기에 급급해 안전장치 마련에 소홀했다는 비판에 직면한 상황에서 스스로 극찬했던 팝펀딩까지 환매중단사태까지 이르는 결과를 가져왔다"며 "팝펀딩 사태는 또 하나의 관제 펀드 실패 사례라는 오명을 쓸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고 말했다.

    이같은 사건은 제도권 금융으로 발전을 준비 중인 P2P 산업에 큰 장애물로 인식된다.

    부정적인 선례는 결과적으로 안정성을 강화하되 금리를 낮추는 상품의 출시로 이어져 기존 펀드상품과의 차별성을 잃게 될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이미 P2P금융업체들이 부동산PF(프로젝트파이낸싱) 투자 상품을 줄이기 시작했다.

    연체·손실 리스크는 낮췄지만 업계 성장을 견인했던 상품이 줄어 선택의 폭도 좁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