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A, '가상자산 부정거래 등 사이버 범죄 활동 정보추적기술' 착수n번방, 다크웹 등 범죄에 쓰이는 가상자산 식별, 유통경로 파악2022년까지 79억 8100만원 투입...범죄자 검거 및 기술 국산화 전망
-
앞으로 n번방, 다크웹 등 온라인상에서 범죄에 악용되는 '가상자산(암호화폐)'의 유통 경로를 추적하는 기술이 개발된다.23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다크웹 접속자는 일평균 1만 5000명으로 2016년 대비 3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해 다크웹 가상자산 거래량은 전년대비 1.5배 증가한 1250만건으로 집계됐다.다크웹은 암호화폐인 비트코인(BTC)을 통해 불법 상거래를 진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n번방 사건 가담자들도 결제에 비트코인, 모네로(XMR) 등 암호화폐를 주요 가상자산으로 사용했다.블록체인으로 이뤄진 가상자산 특성상 범죄자금 소유자의 추적이 쉽지 않았다. 익명성 기반의 다크웹 역시 범죄정보 연관분석, 행위자 식별, 위협검증 등 국내 상용기술도 부재했다.이에 KISA는 올 초부터 '가상자산 부정거래 등 사이버 범죄 활동 정보추적기술'에 착수한 상태다. 해당 기술은 인공지능(AI) 머신러닝을 바탕으로 가상자산의 부정거래를 추적하고, 다크웹 네트워크에서 사이버 범죄활동 정보를 수집하는 기술이다.구체적으로는 가상자산취급업소(VASP)식별 및 부정거래 흐름을 추적하고, 다크웹 상의 범죄자 프로파일링을 위한 사이버범죄 관련 정보를 수집·분석을 고도화한다. 국내 가상화폐 취급 업소 식별 연구를 시작으로 ▲가상자산 부정거래 흐름 추출 ▲다중채널 범죄정보 수집 및 프로파일링 ▲다크웹 위협 검증 및 실증까지 단계적으로 연구할 방침이다.검찰·경찰 등 수사기관 및 가상자산 거래소 등 실 수요기관과 공동연구를 추진, 기술 요구사항도 반영한다. 다크웹·딥웹 분석 전문업체 등 외부 전문가도 적극 활용, 정보를 모으겠다는 전략도 세웠다.KISA는 자체적으로 실증망 테스트베드 구축은 물론, 주요개발기술 성능목표 검증을 위한 공인성능시험에 활용할 계획이다. 가상자산 부정거래 추적 기술개발에는 2023년까지 79억 8100만원(정부출연금 60억원, 민간부담금 19억 8100억원)이 투입된다.박순태 KISA 보안위협대응 R&D 팀장은 "가상자산 부정거래 탐지 및 추적을 통해 범죄자 식별 및 검거는 물론, 기술 확보를 통한 기술 국산화가 가능할 것"이라며 "해외 솔루션 사용으로 발생했던 불필요한 외화 소비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