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병원 인턴 공백 우려… 의료대란 현실로 나타날 듯 '지방의대·공보의' 모집 등 난관, 쏠림현상 가중 부작용 우려마지노선 지난 의사국시 재응시… '2월 대안' 적용 가능성 '미지수'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의사국사고시 실기시험이 전체 응시 대상자 3172명 중 446명만 참여한 채 어제(10일)부로 마무리됨에 따라 내년 3월부터 의료대란이 현실화됐다. 의료현장에서 밤낮으로 뛰어야 하는 약 2700여명의 의사가 증발했다는 의미다. 

    이들의 공백은 내년 3월부터 수련병원으로 불리는 대다수 대학병원의 현실로 와닿게 된다. 지난 여름 전공의 파업 사태로 경험했듯 수술일정 및 진료체계의 급격한 변화가 예고된 것이다.

    11일 의사국시 재응시 문제가 불발된 의료계의 반응은 참담하다. 사실상 마지노선이 지났기 때문에 예년 대비 86%의 의사 배출이 불가능해졌다는 관측이다. 

    현 의대 본과 4학년 학생들이 의사면허를 취득하려면 이미 실기시험을 치러야 했고, 내년 1월 필기시험을 본 후 각 수련병원 전공의 모집에 지원하는 절차를 거쳐야 했다. 

    그나마 현실적인 대안은 10월 중순 보건복지위 국정감사 기간 관련 논란에 대한 엄격한 진단을 하고, 여야 및 정부 합의로 재응시 여부를 확정 지은 후 준비 기간을 거쳐 12월에는 실기시험을 치르는 것이었다. 

    국정감사 당시 주요 대학병원장들이 고개를 숙여 대국민 사과와 함께 의사국시 재응시를 호소한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었다. 

    이날 한희철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이사장은 “엉켜버린 의사국시 문제로 내년 의료현장에서 벌어질 문제가 뻔히 보였고, 이를 막아보기 위해 전국의 수련병원 원장들이 한목소리를 냈고 정부와 국민에게 호소했다. 그러나 여전히 답은 나오지 않았다”고 우려했다. 

    그는 “응급상황 속에서는 형평성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중증도에 따른 우선순위가 매겨지기 마련이다. 작금의 상황에서 의사가 배출되지 않으면 혼란의 가중될 것이 분명하다. 이건 의사국시를 치르게 해달라는 협박이 아니고 국민 피해를 줄이기 위한 의료인의 외침이었다”라고 언급했다. 

    이대로면 내년 3월 전국 수련병원 인턴 모집은 ‘미달’의 연속이 될 수밖에 없다. 증발한 인턴은 기존 전공의, 전임의(펠로우), 교수 등에게 업무 부담이 가중되고 진료 일정의 조정이 필수적인 상황이 된다. 

    김대하 대한의사협회 대변인은 “정부가 대안을 마련하지 않은 채 이대로 재응시 문제가 불발된다면, 의료공백에 따른 문제는 심각해질 것이다. 이 경우, 주요 대학병원들은 환자 수를 정해서 진료를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또 다른 문제는 대형병원에 인턴 지원이 많을 수밖에 없고, 지방대병원은 외면받는 현상이 극심해질 것이라는 우려다. 의사국시에 합격하면 곧바로 지원할 수 있는 공중보건의 문제도 커진다. 매년 500~700명을 뽑아 농어촌 등 취약지역에서 근무하도록 했는데 이 부분도 의료공백이 현실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 

    정부도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있다. 원칙적으로 재응시 불가 입장을 고수했던 복지부 측도 “의사국시에 대해 의료인력 공백 등 여러 고민이 있다. 관련 대책을 마련하면서 해당 부서도 고민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언급했다. 

    박능후 복지부 장관이 지난 국감에서 “재응시 불발에 따른 인력 공백을 입원전담전문의와 간호사, 공중보건의 배치 조정 등으로 해결하겠다”라는 발언을 했는데, 이는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의료계 관계자 등에 따르면, 현시점 유일한 대안은 1월 7~8일 의사국시 필기시험을 치르고 곧바로 실기시험을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기시험은 약 6주 가량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2월 중순 종료되면 곧바로 수련병원에서 인턴모집을 하면 가능하다는 진단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정부 결정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 대안이 시행될지는 미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