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1조8천억 투입해 통합 추진한진그룹-채권단, 8천억 투자계약 체결정부·채권단, 산경장 회의서 결정
  • ▲ 정부,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인수 공식화.ⓒ연합뉴스
    ▲ 정부,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인수 공식화.ⓒ연합뉴스
    정부와 산업은행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통합 추진을 공식화했다.

    대한항공 지주회사인 한진칼은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위해 2조5000억원 규모 유상증자에 참여한다.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 신주(1조5000억원)와 영구채(3000억원)로 총 1조8000억원을 투입해 아시아나항공 최대 주주가 된다. 이를 위해 산은은 한진그룹과 8000억원 규모의 투자계약을 맺기로 했다.

    정부는 16일 오전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산경장) 회의를 열고 아시아나항공 정상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 금융위원회 등 정부 부처와 아시아나항공 채권은행인 산은과 수출입은행이 참석했다.

    산경장에서는 예상대로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안이 상정됐고 통합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세계 항공산업 경쟁 심화와 중국발 코로나19(우한 폐렴) 장기화로 항공업 구조재편 없이는 국적항공사의 경영정상화가 불확실하다는 견해다. 정부 관계자는 "미국·중국·일본 등 인구 1억명 이상 국가와 한국을 제외한 대부분 나라가 1국가 1국적항공사 체제로 재편되고 있다"며 "이번 통합으로 탄생할 국적항공사는 세계 항공산업 내 톱10 수준의 위상과 경쟁력을 갖추게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지난해 여객·화물 운송실적을 기준으로 대한항공은 19위, 아시아나항공은 29위다. 인수·합병(M&A)이 이뤄지면 단순 합산으로 세계 7위권 항공사가 탄생하게 된다.

    하지만 앞으로 난관도 녹록지않을 것으로 보인다.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 승인과 한진칼 지분을 확보하고 있는 행동주의 사모펀드(PEF) KCGI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반대 등이 통합의 걸림돌로 떠오를 전망이다.

    정부는 일단 통합 추진과정에서 고용승계가 이뤄지게 고용안정을 최우선하여 관리해나간다는 태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