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봉구 7월 매매가 6.6억원… 한 달 새 47% '껑충'서울전체 1.8억원·19.5%↑… 경기 20.8%↑·인천 13.6%↑부동산원 통계 논란에 아파트표본 3.5만 가구로 104% 확대
  • ▲ 아파트단지.ⓒ뉴데일리DB
    ▲ 아파트단지.ⓒ뉴데일리DB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관련 통계가 엉터리였던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정부가 부동산 가격동향을 파악하는 루트인 한국부동산원의 조사표본이 늘어나자 한 달 새 수도권 아파트 매매 시세가 20% 가까이 뛴 것으로 드러났다. 매매 시세가 무려 50%쯤 급등한 지역도 나타났다.

    18일 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 시세 통계 분석 결과 서울 지역 아파트 매매가격 시세가 한 달 새 20%쯤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가격 시세는 11억원930만원으로, 전달(9억2813만원)보다 1억8117만원(19.5%) 올랐다.

    구별로 살펴보면 도봉구는 지난달 6억6792만원으로 전달(4억5596만원)보다 46.5%쯤 급등했다. 성동구(41.9%)와 서대문구(35.9%), 노원구(35.1%), 중랑구(34.1%), 관악구(33.4%), 영등포구(33.0%), 성북구(31.7%), 강서구(30.8%), 강북구(30.4%)도 30% 이상의 상승률을 보였다. 같은 기간 종로구만 유일하게 10억5075만원에서 9억8649만원으로 내렸다. 지난달 서울은 방학 이사수요와 정비사업 이주수요 등으로 매물 부족 현상이 지속하며 가격 상승을 부추긴 것으로 분석된다.

    경기도도 사정은 비슷하다. 아파트 매매가격 시세는 지난달 평균 5억7498만원으로 전달(4억7590만원)보다 9908만원(20.8%) 급등했다. 성남시 중원구는 같은 기간 45.6%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용인시 처인구(39.9%), 오산시(37.8%), 광주시(36.4%), 고양시 일산서구(35.1%) 등도 상승 폭이 35%를 웃돌았다.

    인천도 평균 아파트값이 6월 3억39만원에서 지난달 3억4118만원으로 13.6% 올랐다. 정주환경이 양호하고 교통개선 기대감이 있는 연수구 송도동과 청라의료복합타운·신세계 스타필드 등 개발사업과 7호선 연장 등의 교통 호재가 있는 서구 청라지구 등을 위주로 올랐다.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평균 아파트값은 같은 기간 6억771만원에서 7억2126만원으로 18.7% 상승했다.

    이처럼 지난달 수도권의 아파트 매매가격 시세가 한 달 새 급등한 배경에는 부동산원이 아파트값 통계 표본을 확대한 게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부동산원은 부동산 관련 통계가 민간 통계와 비교해 시장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지난해 10월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국토교통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선 야당이 주택도시보증공사·한국주택금융공사 등 부동산 관련 공공기관 대부분이 KB부동산시세를 활용할 만큼 시장의 신뢰도가 큰 데도 국토부는 부동산원(당시 한국감정원) 통계만을 고집해 현실과 동떨어진 얘기로 국민 염장을 지른다며 김현미 전 장관을 몰아붙이기도 했다. 김 전 장관은 앞선 7월 국회 경제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지난 3년간 서울 아파트값이 11% 올랐다"고 말해 통계 논란을 일으켰었다.

    부동산원은 통계 관련 논란이 계속되자 지난달부터 표본 규모를 확대하는 '표본 재설계 및 보정'에 나섰다. 월간 조사 표본은 기존 2만8360가구에서 4만6170가구로 늘렸고 이 중 아파트는 표본을 기존 1만7190가구에서 3만5000가구로 104% 확대했다. 표본을 늘린 통계를 적용하자 한 달 새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급등한 것이다.

    이에 대해 부동산원 관계자는 "보통 3~5년 단위로 대규모로 표본을 재설계하는데 가격이 높은 것부터 낮은 것까지 모집단의 가액분포를 고려해서 추가한다"며 "예를 들면 강남지역 신축아파트가 반영되는 식으로 (추가된) 표본 자체의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향된 영향이 있다"고 말했다. 추가된 표본의 몸값이 커서 일시적으로 가격이 뛴 것일 뿐 자세한 가격변동률은 데이터가 좀 더 축적돼야 판단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