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후 대응 성공적… 미래 내다본 정책은 역부족의료자원 비효율적 배치, 확진 임산부·응급소아 전달체계 엉켜 확진자 의료접근성 보장 선결과제… 유기적 흐름 유지가 관건중앙감염병병원 역할론 강화… 치료넘어 보건의료 전반 아울러야
  • ▲ 임승관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장은 2일 국립중앙의료원이 개최한 ‘코로나 이후, 감염병 대응체계 개혁 왜 필요한가’주제의 포럼에서 발표를 진행했다. ⓒ강민석 기자
    ▲ 임승관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장은 2일 국립중앙의료원이 개최한 ‘코로나 이후, 감염병 대응체계 개혁 왜 필요한가’주제의 포럼에서 발표를 진행했다. ⓒ강민석 기자
    국내 코로나19 방역이 감염병 발생 초기 단계에서는 성공적이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그 동력을 잃어간 것으로 분석됐다. 검사나 격리뿐만 아니라 안정적 의료 체계까지 아우르는 대책이 필요했는데, 이 지점에서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는 의미다.

    임승관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장은 2일 국립중앙의료원이 개최한 ‘코로나 이후, 감염병 대응체계 개혁 왜 필요한가’ 주제의 포럼에서 “우리의 대응이 성공했느냐고 묻는다면 성공적인 부분도 있고 그렇지 못한 부분도 있다는 게 가장 공정한 답변”이라고 밝혔다. 

    임 원장은 “지난 2년 4개월 동안 같이 이겨내려 노력한 덕분에 직접적인 피해는 상당히 낮출 수 있었고, 우리가 감수한 고통 역시 헛된 게 아니고, 폄하돼서는 안 된다”고 전제하며 “시기별로 말하자면 초기는 성공적, 후반은 그렇지 못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팬데믹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초기 전략을 후반까지 유지하려고 했던 지점이 문제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그는 “(방역의) 실력을 발휘하면 코로나19 종식도 가능하다고 판단하면서 바이러스 변이 등 정세가 변화해도 초반에 사용했던 전략인 사후 대응만을 강조한 측면이 있다”고 언급했다. 

    결국 마스크 착용, 거리두기 등 ‘비약물적 중재’ 영역에서는 우수한 성과를 보였으나 의료자원의 효율적 재배치 등에서 아쉬운 부분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비코로나 환자가 공공병원을 이용하지 못했고, 확진된 임산부나 소아 등이 전담 병원이 아닌 민간병원을 이용할 수 없어 병상을 찾다 사망하는 일도 발생했다.

    임 원장은 “결정적인 오류는 정부가 감염병에 대응하는 병원을 ‘지정체계’로 운영한 것”이라며 “보편적 의료체계 안에서 코로나19 확진자도 의심 환자도, 접촉자의 의료접근성을 보장하는 쪽으로 가는 것이 현명하다”고 주장했다.

    견고한 방역체계를 유지하기 위한 전제조건은 전체가 유기적으로 돌아가는 의료시스템을 갖추는 게 우선이라는 것이다. 

    그는 “앞으로 국립중앙의료원 중앙감염병병원을 중심으로 공공과 민간까지 모두 참여해 방역 대응과 의료 대응이 함께 이뤄질 수 있어야 한다”며 “중앙감염병병원은 치료기관을 넘어 전체 보건의료체계를 잘 작동할 수 있도록 만드는 역할까지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