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수출 15.2%↓… 반도체 36.2%↓ 부진 지속 여파무역수지 21억 달러 적자… 적자 폭은 둔화 추세대외 불확실성 여전… IPEF 공급망 협정 후폭풍 주목
  • 반도체.ⓒ연합뉴스
    ▲ 반도체.ⓒ연합뉴스
    무역수지가 작년 1월부터 지난달까지 15개월간 적자 행진을 계속했다.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체 부진의 영향이 컸다.

    대외 불확실성은 여전하다. 미국·중국 간 패권경쟁이 심화하면서 G2 사이에 낀 우리나라로선 새로운 통상체제 안에서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5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액은 522억 40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 15.2% 감소했다. 같은 기간 수입은 14.0% 줄어 543억 4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무역수지는 21억 달러 적자를 나타냈다.

    무역수지 적자 행진은 15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마이너스 행진은 지난해 1월 51억 5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하며 시작했다. 올 1월에는 125억 3000만 달러 적자를 내며 최근 1년여간 가장 큰 규모로 적자를 냈다. 다만 이후로 2월 53억 2000만 달러, 3월 47억 4000만 달러, 4월 26억 5000만 달러, 5월 21억 달러 등 적자 폭은 둔화하고 있다.

    5월 수출이 감소한 이유로는 조업일수 1.5일 감소와 IT업황 부진, 지난해 5월 수출이 역대 2위 수준인 616억 달러를 기록한 데 따른 기저효과 등이 꼽힌다. 다만 조업일수 영향을 배제한 하루평균 수출액은 지난해 10월 이후 처음으로 24억 달러대를 회복했다. 5월 하루평균 수출액은 24억 3000만 달러였다. 전달(22억 달러)보다 소폭 늘었다. 올 들어 하루평균 수출액은 평균 22억 달러대를 유지해 왔다.

    수출 감소 배경에는 우리나라 효자 품목인 반도체의 실적 부진이 있다. 반도체 수출은 지난해보다 36.2% 감소했다. 반도체는 전년에 비해 생산이 줄고 재고가 느는 등 전반적인 업황이 악화하고 있다. 메모리 반도체 등의 단가 하락이 영향을 끼쳤다.
  • 2022년 1월 이후 월별 수지.ⓒ산업통상자원부
    ▲ 2022년 1월 이후 월별 수지.ⓒ산업통상자원부
    품목별로 보면 컴퓨터(-57.5%)와 선박(-48%), 석유제품(-33.2%), 석유화학(-26.3%) 등도 수출이 줄었다. 반면 자동차(49.4%)와 양극재(17.3%), 일반기계(1.6%) 등은 수출이 늘었다.

    주요 6대 지역 수출은 모두 감소했다. 중국(-20.8%), 미국(-1.5%), 아세안(ASEAN, -21.2%), 유럽연합(EU, -3.0%), 중남미(-26.3%), 중동(-2.6%) 등이다. 아세안의 경우 최대 무역국인 베트남에서 수입수요가 지속 감소하고 있어 수출이 쪼그라들었다. 미국과 중국에서는 반도체 부진이 수출 감소에 가장 크게 영향을 끼쳤다. 중동에서는 현지에서 석유화학 산업을 확장하며 반대로 우리 석유화학에 대한 수요가 줄었다. 일본에서도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석유화학 생산이 위축돼 수출이 감소했다.

    5월 수입은 원유(-16.2%)와 가스(-20.2%), 석탄(-35.1%) 등 에너지 수입이 감소함에 따라 총 14% 줄었다. 반도체와 철강 등 원부자재 수입도 감소세를 이어갔다.

    정부는 수출위기 극복과 수지 개선을 위해 다양한 전략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단기적으로는 △유망품목 수출의 밀착 지원 △중국 내 프리미엄 소비재 전시회 참가 △신성장 제조업 마케팅 집중 지원 등을 추진한다. 중장기적으로는 품목의 고부가가치화와 다변화, 수출시장 다변화 등을 추진한다.

    악화한 대외 여건에도 주의를 기울인다. 최근 우리나라는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가입국들과 공급망 협정을 타결했다. 중국은 즉시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산업부는 이에 대해 중국이 반발할 요소는 없으며, 최대 교역국인 만큼 교류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던 바 있다.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과 관련해서는 긍정적인 전망이 나왔다. 이날 산업부는 "전반적으로 효과가 나타나는 건 아직 시기상조지만, 일부 품목 중심으로는 조금씩 효과가 보인다"며 "리오프닝이 우리 경제 전체 전체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대폭 커지는 시점은 예단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