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설비투자 2조4000억원 들어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시멘트 업계가 자체적으로 온실가스 발생을 줄이고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대규모 투자를 대응하기에 한계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정부의 정책 지원과 규제 완화 등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23일 시멘트 업계에 따르면 시멘트그린뉴딜위원회는 2027년까지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질소산화물 배출 저감을 위해 시멘트 업체들이 연간 최대 2조원의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추산했다.

    2030년 온실가스 12%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설비투자 2조4000억원과 연구개발(R&D) 8000억원 등 3조2000억원의 자금이 소요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위원회는 지난 2021년 시멘트 산업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정부와 산·학·연 전문가 등으로 구성됐다.

    시멘트그린뉴딜위원회 김진만 공동위원장은 "올해 4월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조정에 의해 산업 부문 감축목표를 일부 완화해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확정했지만, 시멘트 업종별 목표는 2021년 목표 수준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다양하고 현실적인 감축 수단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산업계의 감축 부담을 최소화해도 버거운 상황인데,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를 역행하는 폐기물 자원순환세 도입을 추진하는 등 시멘트 산업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고 비판했다.

    시멘트그린뉴딜위원회는 탄소감축을 위한 막대한 환경개선 설비투자비가 가장 큰 장애요소가 될 것으로 지목하고 있다. 질소산화물 배출 규제의 경우 최근 시멘트 생산공장이 환경오염 통합관리대상에 추가돼 2027년까지 허가배출기준에 부합할 수 있는 시설투자를 완비해야 한다. 다른 환경투자 비용을 제외해도 생산라인 1기당 SCR 설치비 약 300억원에 더해 운영비만 매년 약 270억원이 추가로 필요하다.

    한국시멘트협회 관계자는 "유럽은 국내보다 평균 두 배가 넘는 수준까지 연료를 대체해 사용하고 있다. 독일의 일부 공장은 화석연료인 유연탄을 사용하지 않고 재활용 연료만을 100% 사용하는 등 평균 70% 수준의 대체율을 기록하고 있다"며 국내에서도 자원순환 체제로의 빠른 전환을 위해 시멘트업계의 노력에 지원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