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투자자 이탈 가속화…금융당국 접근성 제고 나서 12월 14일부터 외국인 투자자 등록제 폐지…글로벌 자금 유입 기대감 금융당국, 공매도 재개 검토·배당 절차 개편 등 본격 체질 개선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오는 12월 30년 만의 외국인 투자자 등록제 폐지를 앞두고 국내 증시에 대한 외국인 수급이 개선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금융당국은 고질적인 '코리아 디스카운트' 현상 해소 및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을 과제로 삼고 대대적인 체질 개선에 나서고 있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개월간(9월 6일~10월 6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는 3조1927억원을 순매도했다. 

    외국인은 이달 6일까지 11거래일 연속 코스피 주식을 순매도했다. 이는 지난해 9월 이후 1년 만이다.

    오늘까지 외국인이 코스피 주식을 순매도한다면 2007년 11월 이후 최장 기록을 세우게 된다. 

    외국인의 국내 증시 이탈은 최근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와 원·달러 환율이 치솟자 더욱 가속화되는 모습이다. 

    김석환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외국인 입장에서 보면 신흥국에 대한 투자 비중을 확대할 메리트가 크지 않다"며 "외국인 매도 포지션이 확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글로벌 운용사 JP모건자산운용이 발간한 가이드 투 더 마켓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10년(2013∼2022년) 동안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한국 지수는 연평균 1.9% 상승하는 데 그쳤다.

    각국 증시의 연평균 수익률은 미국(12.6%)이 가장 높았고 대만(10.3%), 인도(7.6%), 일본(5.9%), 중국(5.5%) 등 아시아 주요국도 한국보다 높은 성과를 낸 바 있다. 

    한국은 세계 금융 시장에서 신흥국으로 분류되고 있다. 취약한 기업지배구조와 미흡한 주주 환원, 낡은 관행 등이 자본시장 선진화를 막고 있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2012∼2021년 한국 상장사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은 평균 1.2배 수준이다. 선진국(2.2배)을 비롯해 신흥국(2배)보다 현저히 낮다. PBR은 기업이 보유한 순자산 대비 주가다. 낮은 PBR은 해당 주식이 저평가돼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 정부는 이같은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기 위해 낡은 관행 및 제도를 글로벌 스탠다드에 부합한 수준으로 개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먼저 오는 12월 14일부터 31년 만에 외국인 투자자 등록제가 폐지된다. 

    그간 글로벌 외국인 투자자는 외국인 투자자 등록제를 한국 증시 투자의 큰 걸림돌로 지적해 왔다. 

    증권사 등에서 상장증권 거래를 위한 계좌를 개설하려면 투자등록번호(외국인 ID)를 발급받는 등 복잡한 절차를 밟아야 하기 때문이다. 

    해당 제도가 폐지되면 법인은 법인식별기호(LEI)로, 개인은 여권번호를 활용해 증권사에서 바로 계좌개설이 가능해진다.

    외국인의 국내 증시에 대한 접근성이 낮아짐에 따라 장기적으로 패시브 자금 유입에 따른 지수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MSCI는 특히 외국인 투자자 등록제에 대해 한국 시장 접근성을 가로막는 항목으로 지적하기도 했다.

    한국 정부가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을 목표로 하고 있는 만큼 향후 지수 편입에도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전망이다. 

    외국인 투자자 등록제 폐지를 시작으로 금융당국은 공매도 전면 재개 시점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 배당금 지급 투명성 제고, 내부자거래 사전공시, 외환시장 24시간 거래 체제 도입 등 시장 접근성을 개선할 수 있는 조치도 마련하고 있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지난달 홍콩 글로벌 투자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투자설명회(IR)에서 "글로벌 투자자들이 한국의 투자환경 개선을 체감할 수 있도록 자본시장과 외환시장의 글로벌화를 위한 주요 정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