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HMGICS 준공식서 기자들과 질의응답 진행"시행착오를 겪으며 노하우를 축적해갈 것"
  • ▲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환영사를 하는 모습. ⓒ현대차그룹
    ▲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환영사를 하는 모습. ⓒ현대차그룹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21일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했다. HMGICS에서 개발한 혁신 기술을 글로벌 공장에 전파해 효율성을 높인다는 목표다. 

    정 회장은 이날 HMGICS 준공식에서 기자들과 만나 질의응답을 나눴다.

    설립 취지에 대 정 회장은 “싱가포르는 아무래도 전세계에서 인재들이 많이 모이고, 공장 자동화 및 품질향상 등에서 저희가 얻을 수 있는 부분이 많아 이곳을 택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차체 도장 등에서는 자동화가 많이 이뤄졌지만, 의장 등에서는 미흡한 부분이 많다”면서 “다음 세대에서는 더욱 자동화가 이뤄질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준비라고 보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HMGICS는 현대차그룹이 ▲지능형, 자동화 제조 플랫폼 기반 ‘기술 혁신’ ▲다품종 유연 생산 시스템 중심 ‘제조 혁신’ ▲고객 경험 기반 판매 모델 구축 등 ‘비즈니스 혁신’을 바탕으로 인간 중심의 미래 모빌리티를 연구하고 실증하는 테스트베드다.
  • ▲ 정 회장이 HMGICS 시설을 둘러보는 모습. ⓒ현대차그룹
    ▲ 정 회장이 HMGICS 시설을 둘러보는 모습. ⓒ현대차그룹
    정 회장은 당장 매출이나 이익에 직접 도움이 되지 않지만 대규모 투자 결정을 단행한 계기에 대한 질문에 “자동차에서 품질로 인한 코스트가 큰데, 사람은 능력에 한계가 있어 자동화가 되면 품질과 완성도를 높이면서 코스트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 자체에서 돈을 버는 건 쉽지 않겠지만 이 기술들을 전 세계에 전파해서 타 공장에서 효율적으로 차를 생산하고 코스트를 줄일 수 있으면 싱가포르 공장이 역할을 다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울산 EV 전용공장과 함께 HMGICS를 미래 혁신의 두 축으로 보고 있다. 

    특히 HMGICS에서 개발한 혁신 기술들을 미국 조지아주의 서배너 공장, 국내 의왕연구소 및 울산 EV 전용공장 등에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정 회장은 “다음 후보지는 특별히 고려하고 있지 않았으며, 이제 시작하는 단계”라며 “시행착오를 많이 하면서 노하우를 쌓아가야 하며, 그게 실현된 후 다음을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