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통신학회, 11일 워크숍 개최'6G를 통한 새로운 도약' 주제 논의
  • 한국통신학회가 11일 서울 강남구에서 워크샵을 개최하고 6G 기술 선점을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날 한국통신학회는 '6G를 통한 새로운 도약'이라는 주제를 두고 허준 고려대 교수, 백용순 ETRI 소장, 한진규 삼성전자 상무 등을 초청해 의견을 개진했다. 

    6G는 오는 2030년 상용화를 목표로 준비 중이며 그 시장 크기는 막대하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 따르면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상용화가 창출한 경제적 파급 효과를 125조원으로 분석하고 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도 5G 선점에 따른 경제적 효과를 1161조원 규모로 예측했다.

    홍인기 한국통신학회장은 "세계 최초 CDMA 상용화부터 세계 최초 5G 상용화에 이르기까지 이동통신 산업이 그간 대한민국에서 이뤄낸 게 많다"고 말했다. 

    이어 "디지털 대전환과 생성 인공지능(AI) 등 기술 보편화 시대 경쟁력을 확보해야 할 통신 산업의 발전 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송철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 대외협력실장은 "국내 이동통신 산업은 글로벌 기술과 시장을 선도해 왔다"면서 "이는 정부와 산·학·연이 모두 합심해 노력해 온 역사의 결과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또 "최근 6G 패권 확보를 위한 전 세계의 진영 간 경쟁 구도가 만들어지면서 우리나라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면서 "6G 서비스에도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기술 표준화부터 함께 참여해 이후 통신장비 개발, 망 구축과 서비스 상용화까지 모든 단계에서 관련된 산·학계와 협업해야 한다"고 했다.

    현재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주도로 6G 표준화 작업과 개별 기업의 연구·개발(R&D)이 진행 중이다. 국내 이동통신 3사는 6G 상용화 계획을 세우고 물밑 경쟁을 벌이고 있다. 

    송 실장은 "6G 통신망은 이전 통신망과는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고, 인프라 구축에 드는 투자비 또한 이전 단계보다 훨씬 많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통신사가 6G 통신 인프라 구축에 필요한 재원 마련에 정책적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