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제2차 산업교육 및 산학연협력 기본계획 발표지역 정주형 인재 양성… 산업계 전문가가 대학 전임교원으로이주호 "대학이 기술패권 견인… 지역 발전 원동력돼야"
  • ▲ 교육부. ⓒ뉴데일리DB
    ▲ 교육부. ⓒ뉴데일리DB
    지역·산업·대학·연구분야 간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산업체와 대학의 공동 연구개발(R&D)를 통해 박사급 연구원을 양성하는 제도가 도입된다.

    교육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제2차(2024~2028) 산업교육 및 산학연협력 기본계획'이 국가산학연협력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됐다고 25일 밝혔다.

    기본계획에는 '지역경제를 선도하는 지산학연협력 추진'을 비전으로 △지역특화산업 분야 인재 양성 △시장 중심의 기술사업화 체계 혁신 △창업 활성화로 지역 일자리 창출 △지산학연 협력 생태계 구축 등 4대 추진 전략이 담겼다.

    우선 정부는 지역 정주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직업교육 혁신지구 및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를 확대한다. 산업체가 재직자를 위해 운영하는 사내대학에는 석·박사 과정을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또 사내대학원을 도입하고, 산업계 전문가가 대학 전임교원으로 근무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도 개선할 방침이다.

    논문 없이 박사급 학위를 딸 수 있는 산업학위도 도입된다. 산업학위는 산업체와 대학의 공동 R&D를 통해 박사 학위 논문을 대체할 수 있게 허용한다는 개념이다.

    대학이 보유한 기술을 고도화하고 기술사업화 전담 조직의 전문성도 강화한다. 대학 캠퍼스 내 대학·기업 간 공동연구 기반을 구축해 기업 수요 기반 공동 R&D를 활성화하고, 국가기술은행(NTB)이나 사업화 지원 전문기관 컨소시엄과 연계한 온오프라인 기술거래 네트워크 체계도 구축할 계획이다.

    지역대학에서 기술창업을 활성화해 지역 내 일자리 창출에 나선다. 대학에서 민간 투자자와 산업계와 함께하는 실전 창업교육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지역 정주 창업기업을 발굴하고 육성한다. 이를 위해 대학 내 창업실습제·창업연구원 등 창업친화적 학사·인사제도를 활성화한다.

    산학연 협력에서 나아가 지자체를 포함하는 지산학연 협력 생태계를 구축한다. 산학협력단의 구조와 기능을 개편해 대학 산학협력 활동의 통합적 의사결정 체계를 마련하고, 산학협력 기획 및 기업과의 연계 역할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앞서 지난 2018년 '1차 산업교육 및 산학연협력 5개년(2019~2023년) 기본계획'에서 산학연협력 활성화를 위해 신산업 분야 인력 양성과 누구나 창업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체계 등을 마련한 바 있다.

    이주호 부총리는 "이번 2차 기본계획을 통해 대학이 단순한 지식전달자가 아닌 국가의 기술패권 경쟁을 견인하고, 지역의 발전을 이끄는 원동력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