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예비상장사 회계 감리 강화거래소 심사 지연에 '상장철회' 속출'부실기업 최소화' 특례제도 정비 필요
  • ▲ ⓒ한국거래소
    ▲ ⓒ한국거래소
    기술특례상장 제도가 또다시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당장의 수익보다는 '성장성'과 '기술력'에 방점을 두고 혁신 기업을 발굴하기 위한다는 당초 취지가 적절한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실적을 부풀린 일명 '뻥튀기 상장' 의혹 등 되레 부실기업으로 전락하는 사례도 나오면서 일각에서는 기술특례상장 제도를 재정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제기된다.

    1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상장이 철회되거나 상장 폐지 위기에 놓인 기업이 늘고 있다. 올해 상장 심사를 철회한 기업은 총 9개로 집계됐다. 옵토레인을 시작으로 하이센스바이오·피노바이오·노르마, 코루파마·나노시스템·이브로드캐스팅·이안·대신밸런스제18호스팩이 IPO 문턱에서 발을 뗐다.

    '삼쩜삼'을 운영 중인 자비즈앤빌런즈는 코스닥 상장에 도전했지만 거래소 코스닥 상장위원회로부터 상장 예비심사 미승인 통보를 받기도 했다. 이 같은 사례가 속출한 데는 기술특례로 상장한 기업들이 부실기업으로 전락하는 경우가 생기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10월 상장 직후 실적이 급감한 반도체 팹리스 기업 파두가 대표적이다. 올해는 사이버보안 전문기업인 시큐레터도 상장 8개월 만에 감사보고서 의견거절을 받고 주권거래가 정지되기도 했다. 

    또 상장 후 주가가 흔들리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면서 기술특례에 대한 신뢰성이 흔들리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거래소에 따르면 기술특례상장 기업 199곳 가운데 현재 주가가 공모가 대비 4배 이상 오른 곳은 총 6개(파크시스템스·레인보우로보틱스·HLB제약·알테오젠·석경에이티·레고켐바이오)사다.

    실적 역시 마찬가지다. 지난해 기술특례로 상장한 기업 중 실적을 공시한 기업은 48곳인데, 순이익이 상장 전 예상치를 넘긴 기업은 퓨런티어 단 한 곳이었다. 퓨런티어를 제외한 모든 기업이 상장 전 예상 실적에 도달하지 못했다는 의미다.

    금융당국은 이런 기술특례 상장사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고자 실적 부문을 꼼꼼히 들여다보는 분위기다. 예비 상장사들은 자사의 재무재표는 물론 예상 실적을 공개해야 하는데 금융감독원이 요구하는 실적 범위가 넓어진 것이다.

    일례로 오는 5월 코스닥 상장을 앞둔 민테크는 지난해 실적 공개를 끝으로 증권신고서를 제출했지만 금감원의 갑작스런 1분기 실적 요구에 심사 시기가 지연되기도 했다. 실적뿐만 아니라 거래소의 상장 심사 과정에서 철회를 결정한 기업도 늘고 있다.

    지난해 코스닥 상장을 목표로 했던 이엔셀은 지난해 7월 말 예심 청구서를 접수한 뒤 지금까지 대기 중며, 이엔셀과 같은 날에 청구서를 접수한 노브메타파마도 마찬가지다. 때문에 상장 예심 기간이 유독 길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장에서는 기술특례 상장사의 경우 무엇보다 사후 관리가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코스닥 상장사 한 관계자는 "기술특례상장 전 기술의 성공 가능성도 중요하지만 사업성이 중요한 만큼 매출 확대 전략 등이 목표대로 지켜지는지 지속해서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적자 기업들이 예상 매출을 적어내지만 말처럼 쉽게 재무구조가 개선되진 않는다"며 "코스닥 상장사들 중 문제 생기는 기업의 대부분은 특례 상장사들이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진짜 특례상장이 필요한 기업들은 명함도 못 내미는 구조다"며 "금융당국이 이를 어떻게 바라보고 심사를 거쳐야 할지 고민해봐야 하는 부분이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