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재홍의 Talk 에스프레소

    “기다렸다가 살 걸 그랬나” … 로보락 ‘S9 MaxV Ultra’, 기존 제품과 비교해보니

    로봇청소기 시장이 커지면서 브랜드 간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올해 2월 로보락은 ‘S9 MaxV Ultra’와 ‘S9 MaxV Slim’을, 에코백스는 ‘디봇 X8 프로 옴니’를 내세우면서 기선 제압에 나섰다. 로보락은 올해 2월 20일 론칭쇼를

    2025-04-09 김재홍 기자
  • 트럼프발 관세 폭격 충격 확산

    '관세 전쟁' 포화에 외환 시장도 짙은 포연 … 원·달러 환율 '1500원' 눈 앞

    관세 협상 기대감에 상승 출발한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중국에 대한 50%의 추가관세 강행 소식에 일제히 급락 마감했다. 관세 부담에 연일 폭락세를 이어가던 애플은 시가총액 1위 자리를 마이크로소프트에 내줬다. 8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025-04-09 서정덕 증권부장
  • 정경진 기자의 현장 르포

    尹 전 대통령 관저 앞에서 '48시간 반윤 집회' … "상식 퇴거하셨나"

    8일 뉴데일리 취재에 따르면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서울 한남동 관저에 머물고 있다. 문제는 관저에서 불과 20여 초 거리에 있는 장소에서 좌파 단체 '촛불행동'이 48시간 연속 집회를 예고했다. 해당 장소는 전직 대통령의 생활 공간과 상당히 가까워 경호·안전, 예우 차원

    2025-04-08 정경진 기자
  • 정치野담

    '개헌·오픈프라이머리' 놓고 갑론을박 … 친명·비명 계파 갈등 조짐

    더불어민주당 내 비명(비이재명)계가 개헌과 '완전 국민경선제'(오픈프라이머리)를 주장하며 이재명 대표와 각을 세우고 있다. 조기 대선을 앞두고 공고해지는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기류에 비명계의 견제가 본격화되는 분위기다.민주당에서 처음으로 대선 출마를 선언

    2025-04-08 이지성 기자
  • 정치野담

    "섭섭한 우원식, 수틀리면 국힘보다 위력적" … 민주당서 비난 자제 목소리

    더불어민주당 출신 우원식 국회의장의 개헌론을 두고 친명(친이재명계)계가 폭발한 가운데 당내에서 비난이 도를 넘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우 의장 측이 민주당에 섭섭함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지는 가운데, 친명 중진 의원을 중심으로 지나친 비난으로 우 의장을 적으로 돌릴 필

    2025-04-08 오승영 기자
  • [서정덕의 마켓브리핑]

    “관세 유예” 오보 속 롤로코스터 탄 뉴욕증시, 혼조세 마감 … 나스닥 0.10%↑

    뉴욕증시 3대 지수가 극심한 변동성을 보인 뒤 혼조세로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에 90일간 관세 부과를 일시 중단할 수 있다는 ‘가짜뉴스’가 전해지며 나스닥은 장중 변동폭이 6%를 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여전히 관세 정책에 강경

    2025-04-08 서정덕 증권부장
  • 與담野담

    '개헌 압박' 이재명, 5·18 헌법 수록으로 되치기 … 여권 분열 노린다

    더불어민주당 출신 우원식 국회의장이 권력 구조 개편을 위한 '원포인트 개헌'을 제안하자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이를 거부하고 '5·18 정신 헌법 전문 수록 카드'를 꺼내 들었다. 이 대표가 여권 내 찬반 의견이 분분한 5·18 카드를 던져 여당의 내분을 유도하는 전략이

    2025-04-07 오승영 기자
  • IT 발품러

    넷마블 '게임박물관' 가보니… 게임 직업부터 추억의 게임까지 '총망라'

    학교 앞 문방구나 친구 집에서 콘솔로 즐겼던 게임은 90년대생의 유년기를 떠올리게 하는 요소 중 하나다. 이제는 박물관에 전시된 팩 게임과 CRT 모니터가 타임머신을 타고 그때 그 시절로 돌아가게 한다. 넷마블게임박물관은 게임의 역사와 구성 요소를 조명하는 것에 그치지

    2025-04-07 김성현 기자
  • [서정덕의 마켓브리핑]

    트럼프 관세 쇼크에 새파랗게 질린 뉴욕증시 … 나스닥 6%↓·애플 9%↓

    뉴욕증시 3대 지수가 폭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월가 예상을 뛰어넘는 고율의 상호관세를 발표하자 투매 물량이 쏟아졌고, 장중 반등 한 번 없이 하락만을 거듭했다. S&P 500은 2022년 9월 이후 일간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3일(현지시

    2025-04-04 서정덕 증권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