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부품인 직경 800 mm 초경량 반사경 제작
  • ▲ 800 mm 반사거울 국산화 제작을 이끈 KRISS-KARI 연구자들
    ▲ 800 mm 반사거울 국산화 제작을 이끈 KRISS-KARI 연구자들



    그동안 100% 해외 기술에 의존했던,
    <인공위성> 카메라 [핵심부품]이 우리 기술로 제작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8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우주광학센터]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위성탑재체실]
    공동연구팀이 인공위성 카메라에 들어가는,
    직경 800 mm [초경량 반사거울]을 국내 기술로 제작했다고 밝혔다.

     

    위성 카메라 기술의 경우,
    사람의 눈에 해당하는 [광부품]의 제작기술이,
    가장 중요한 핵심기술로 꼽힌다.

     

    특히 반사거울은,
    영상의 해상도를 결정하는 핵심부분으로,
    크기가 크고 정밀한 [비구면]을 가지면 더욱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비구면] 이란,
    거울에 반사된 빛이,
    중심부위와 가장자리를 지나는 빛의 초점과 일치해,
    반사된 상이 구면과 평면거울에 비해 선명하게 나타난다.

    이같은 비구면 가공DL  쉽지 않아,
    [미국],
    [프랑스],
    [러시아] 등,
    소수 국가만이 제작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그동안 우리나라 역시 해외 제작에 의존해 왔다.

    특히 KRISS 연구팀은,
    직경 800 mm 비구면 반사거울을,
    10 nm(1 nm는 10억분의 1 m)의 정밀도로 가공하는데 성공했다.
    이는 머리카락을 1/1,000으로 쪼개는 수준의 가공난이도다.

     


    이와 함께 KRISS 연구팀은,
    대형 비구면 반사거울을 [우주산업]에 활용하기 위해,
    무게를 줄이는 경량화 작업에도 성공했다.


  • ▲ 큰 반사경은 중력이나 온도변화와 같은 외력에 의해 변형이 쉽게 일어나는데 이러한 변형을 줄여주는 광기계 구조물의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
    ▲ 큰 반사경은 중력이나 온도변화와 같은 외력에 의해 변형이 쉽게 일어나는데 이러한 변형을 줄여주는 광기계 구조물의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



    경량화 작업을 위해 깨지기 쉬운 거울의 뒷면을 미세한 벌집형태로 가공했다.
    이 과정을 통해 반사거울의 무게를 70% 이상 줄여,
    위성 발사비용 절감은 물론,
    위성의 움직임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됐다.

    사업 책임자인 <KRISS> 이윤우 산업측정표준본부장의 설명이다.

    "고해상도 우주용 카메라 광학부품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국산화함에 따라,
    수입대체효과는 물론,
    세계 위성영상 시장에서도 주도적인 개발활동이 가능해 졌다.


    이번 기술은
    거대마젤란망원경(GMT)등 천체망원경 제작에도 활용돼,
    우리나라의 광학 기술수준을 한 단계 높일 수 있는 의미 있는 성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