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외환위기 이래 물가 상승률 [최저]
  • ▲ (사진=연합뉴스) 농축수산물 가격이 작년 동기 대비 2.3% 하락해 물가 상승률 저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사진=연합뉴스) 농축수산물 가격이 작년 동기 대비 2.3% 하락해 물가 상승률 저하에 큰 영향을 미쳤다.


국제 유가와 농축산물의 가격이 안정 국면에 접어들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직후 수준까지 떨어졌다.

물가 상승률이 낮아지는 원인과 관련,
일각에서는 [디플레이션]의 전조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통계청이 1일 발표에 의하면 
6월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1.0% 상승하는데 그쳤다.

지난 5월에 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9년 9월(0.8%) 이후 
13년8개월 만에 처음으로 가장 낮은 물가상승률을 기록하고 
이 추세를 그대로 이어간 것이다.

물가가 이처럼 낮은 수준의 상승률을 기록하는데 1등 공신은 [국제유가]다.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수요가 많지 않다 보니 
국내 석유류 가격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1% 내린 것이다.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상승률이 소비자물가보다 높은 1.4%,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가 1.3%를 각각 기록한 것도 이 같은 이유다.
 
농축수산물 가격도 작년 동기 대비로 2.3% 하락해 
물가 안정에 견인차 구실을 했다. 
 
농산물 가격은 2.2%, 축산물 가격은 5.1%씩 하락했다.

농축수산물 가격 안정은 [기상 여건]이 좋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매년 이맘때쯤이면 가뭄이나 폭우 등으로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곤 하는데 
올해는 이런 현상이 아직 나타나지 않아 채소가격이 특히 안정돼 있다.
 
다만 [서비스 부문]은 전체적으로 
작년 동월대비 1.3% 올라 
전체 물가상승률을 웃돌며 
상승세를 꾸준히 이어갔다.
 
우선 공공서비스 부문에서 택시료(7.7%), 하수도료(6.2%)가 
작년 동월 대비 많이 올랐다.
 
개인서비스 부문에서도 
공동주택관리비(8.2%), 중학생 학원비(4.6%), 고등학생 학원비(5.8%) 등의 
오름 폭이 컸다.
 
전세 가격도 작년보다 3.1% 오르는 등 
집세(2.6%) 상승세를 이어갔다.
 
낮은 물가 상승률이 지속하면서 
한국이 일본 디플레이션의 전철을 밟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일본이 1990년대 초반에 
부동산·주식 등 자산가격 폭락에 따른 부채 디플레이션으로 
20년 넘게 장기불황을 겪은 것과 한국의 최근 모습이 유사하다는 것.
 
당시 일본은 
과감한 금리 인하 등 초기 대응을 제대로 못하면서 
디플레이션 악순환을 겪었다.
 
한국의 경우 
물가상승률이 마이너스로까지 가지는 않았지만 
지난해 11월 1.6% 상승으로 1%대에 진입한 이후 
8개월째 1%대에서 하향 안정화되는 추세다.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디플레이션] 우려에 대해 
정부는 반대 입장을 표시하고 있다.
 
기재부는 한국의 물가가 7개월 연속 1%대의 안정세를 보이는 것은
수요 압력에 따른 약화보다 
공급이나 제도적인 요인에 따른 것이므로 
일본과는 다르다고 설명했다.
 
양호한 기상 여건에 따른 농축수산물 가격 안정, 
국제 유가 하락 등 
변수가 강했을 뿐 
일시적·계절적인 요인을 제외한 근원물가는 
꾸준한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다는 분석이다.
 
또 하반기에는 물가가 상반기보다는 오를 것으로 보고 있다.

 "디플레이션은 경제 주체들의 기대 인플레이션이 중요한데 
  한국은행 발표를 보면 기대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3% 내외에 머물고 있다.
  한국은 일본과 다른 사례로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고 말했다.

  국제유가 등 영향을 워낙 크게 받아 물가 상승률이 낮아지긴 했는데,
  하반기에는 기저효과 때문에 상승세가 좀 더 가팔라질 것으로 본다"
  
  - 김보경 통계청 물가동향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