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부터 실증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진행… 향후 10년간 7225억원 투자
-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해양 이산화탄소포집저장(CCS) 사업 대상지로 동해 울릉분지 대륙붕 주변 해역(울산 동쪽 방향 60㎞)이 선정됐다고 해양수산부가 16일 밝혔다.
CCS란 화력발전소 등에서 발생하는 CO₂를 포집해 육상이나 해양 땅속에 저장하는 기술이다.
해수부는 지난해 6월 대규모 해저 CO₂ 격리보관소 후보지를 표시한 지도(아틀라스)를 발간하고 동해 울릉분지와 서해 군산분지, 남해 제주분지 등 3곳을 국내 해역별 격리보관소 후보지로 꼽았다.
동해 가스전 등이 포함된 울릉분지 남서부 대륙붕 주변 해역은 기존의 지질·지구물리 탐사 자료가 가장 많아 다른 후보지보다 해양저장소 확보에 유리한 것으로 검토됐다. CO₂를 해양 지중에 안전하게 저장하려면 CO₂를 주입할 수 있는 퇴적물 입자 사이 틈새(공극)를 가진 주입층과 CO₂ 누출을 막는 덮개층 등 특별한 지질구조가 필요하다.
해수부는 지난 4월부터 해양CCS 실증사업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이 사업은 연간 100만톤 규모의 CO₂를 수송·저장해 실용화 가능성을 실증하는 것이다. 앞으로 10년간 해양CCS 인프라 구축·운영 등에 총 7225억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CCS는 온실가스 감축의 현실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영국·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2020년대 기술 실용화를 목표로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하고 대규모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2010년 관계부처 합동으로 국가 CCS 종합추진계획을 마련하고 부처별로 역할을 분담해 실용화 기술개발을 진행해왔다.
해수부는 해양수송·저장분야를 맡아 2005년부터 관련 기술을 개발해왔다. 대규모 CO₂를 해양 지중으로 안전하게 수송·저장·관리하기 위한 수송선박, 해저파이프 라인, 해양플랜트 등의 설계기준을 개발했다.
미국 일리노이 실증사업 연구팀과 함께 해양 지중에 저장된 CO₂의 누출 여부 등에 관한 모니터링 기술도 개발 중이다.
또 CO₂를 해양 지중에 저장할 때 일어날 수 있는 해양환경에 대한 영향과 안전성을 평가·관리하기 위해 해양 CCS 해양환경평가 지침을 개발했다. 저장 후보 해역의 생태계를 지속해서 조사해 생물 데이터베이스(DB)도 구축했다.
연영진 해수부 해양정책실장은 "2030년 우리나라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한 바 있어 CCS 기술개발과 실증사업을 통한 감축 수단 마련이 절실한 시점"이라며 "실증사업이 성공하면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배출전망치 대비 37% 감축)에 이바지하는 것은 물론 2050년까지 3조 달러 규모로 성장할 세계 CCS 시장에 국내 기업이 진출하는 기반을 마련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