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례 양적완화에 따른 유동성 흡수테이퍼링→금리인상→보유자산 축소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보유자산 축소를 공식화하면서 우리 경제 뇌관인 가계부채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연준의 보유자산 축소는 그동안 시중에 푼 유동성을 거둬들인다는 의미로 기준금리 상승과 유사한 효과를 내기 때문이다.한국은행 기준금리도 당장은 아니지만 인상을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 금리가 오르면 가계의 이자 부담은 가중된다.
1400조원에 육박하는 규모도 문제지만, 빚 상환 능력이 취약한 고리가 끊어질 위험이 커진다는 점에서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한국은행에 따르면 6월말 기준 가계부채는 1388조3000억원에 이른다. 고정금리 대출이 늘어나긴 했지만 여전히 변동금리 대출이 절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금리 상승에 직접 영향을 받는다.기준금리 인상 카드를 앞에 둔 한은의 고민은 더 깊어지고 있다. 통화정책 변수가 더 복잡해졌기 때문이다. 연준의 보유자산 축소가 시작되고, 연내 추가로 미국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자금 유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러나 가계부채 부담은 커진 상태에, 국내 경기는 생각만큼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북핵 리스크도 더해졌다.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지난 10년간 시장에 풀었던 유동성을 본격적으로 흡수하는 모양새다.최근 2년간 네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제로(0) 금리'에서 완전히 벗어난 데 이어 이번에는 보유자산 축소 계획까지 내놓으며 양적완화에 종지부를 찍을 참이다.연준이 보유한 국채와 주택담보부채권(MBS)의 만기가 도래했을 때 재투자를 중단하는 식으로 자산 규모를 조금씩 줄여나가겠다는 것이다.
연준이 굳이 지금 보유자산 축소까지 결정한 이유는 네 차례 금리 인상에도 경제가 견조한 모습을 보이면서 양적완화의 그늘에서 벗어날 발판을 마련했기 때문이다.또 연준의 양적완화 정책 유지가 버락 오바마 전임 행정부 시절 적자를 줄이기 위한 것이라는 정치적 공격 대상이 되면서 보유자산 축소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의 임기가 얼마 남지 않았고 연준 구성이 대거 바뀔 가능성이 큰 상황에서 정책의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해 서둘러 축소를 결정했을 가능성도 있다.
연준은 시장에 충격을 주지 않기 위해 보유채권을 매각하는 것이 아니라 만기가 도래하는 채권에 대해 재투자하지 않는 방식으로 조금씩 보유자산을 줄여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