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통사들이 오는 6월 5G 주파수 경매를 앞두고 '5G 통신장비' 업체 선정에 신경을 쓰고 있는 가운데, 입찰에 참여한 화웨이의 대한 보안 우려가 또 다시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화웨이의 경우 중국 인민해방군 사이버 부대의 지원을 받아 통신장비가 구축된 곳의 보안 내용을 수집하는 '스파이' 회사로의 의심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통 3사는 5G 장비 사업자 선정을 위해 최근 삼성전자, 화웨이, 노키아, 에릭슨 등 국내외 통신장비업체에 입찰제안요청서(RFP)를 송부, 협력사 선정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는 국내 이통사들이 향후 5년간 5G망 구축에 20조원이 넘는 금액을 투자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여러 업체 중 삼성전자와 화웨이를 한국 맞춤형 장비 솔루션 제공 업체로 꼽고 있다.
특히 화웨이 제품의 경우 다른 업체보다 30% 이상 가격이 싼데다 기술력까지 겸비해 국내 이통사들이 쉽사리 화웨이를 뿌리칠 수 없을 것이라는게 업계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그런데 잡음은 아직 화웨이에 대한 보안우려가 해소되지 않아, 아무런 의심없이 이들을 국내 5G 장비 업체로 확대했다간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같은 업계의 곱지 않은 시선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화웨이의 설립자 '렌장페이(任正非)'는 중국 인민해방군 정보장교 출신이다. 이름 '화웨이(華爲)'는 "중화민족을 위해 노력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2003년 당시엔 미국 네트워크 장비업체 '시스코(CISCO)'가 "화웨이가 시스코의 라우터, 스위치 허브 등을 무단복제했다"며 소송을 제기한 바 있으며, 당시 화웨이는 처음엔 "그런 사실이 없다"고 발뺌했지만 결국 "시스코의 소스코드를 도용해 개발했다"며 잘못을 시인하기도 했었다.
2012년에는 중국 해커들이 캐나다 네트워크 장비 업체 '노텔'을 해킹해 화웨이 제품 개발에 결정적 기여를 한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당시 화웨이는 노텔 장비의 설계도면은 물론 프로그램, 매뉴얼까지 그대로 복사하다시피 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후 화웨이는 '중국 인민해방군의 선봉'이 아니냐는 의심을 받았고, 미국 정보기관 NSA는 화웨이를 해킹하기도 했다.
또한 트럼프 당선 직후인 2016년 12월에는 스티브 차봇 미국 하원 중소기업위원회 위원장 등 3명의 국회의원이 미국 국방부로 "화웨이가 한국에서 이동통신망 구축에 참여하는 것을 미국 안보를 위해 막아야 한다"며 "한국이 준비하는 5G 네트워크는 전자장치와 가전 등을 연결하는 IoT 육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데, 미군이나 미국 정보시설, 외교시설 장비에 있는 데이터가 화웨이의 네트워크에 의해 위협받을 수 있다"고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
올해 들어선 미국 의회가 국가 보안을 우려해 자국 이통사인 AT&T에 화웨이와 관계를 끊을 것을 촉구했다.
이에따라 지난 1월 AT&T는 미국 시장에 화웨이 최신 스마트폰 '메이트 10'을 판매할 계획이었으나 이를 백지화한 바 있다.
통신 업계 한 관계자는 "현재 국내 통신 장비의 10% 안팎이 화웨이 제품으로 추정된다"며 "화웨이에 대한 보안 우려가 완벽히 해소되지 않은 상황 속 단순히 가격이 싸다는 이유로 이들을 5G 장비 업체로 확대했다간 안보 이슈가 부각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화웨이가 마음만 먹으면 국내 통신망을 타고 보안 이슈를 들여다 보는 것은 일도 아니다"라며 "국내 이통사들이 '5G 통신장비' 업체 선정을 두고 신중을 기해야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