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긍정론' 불구 국내 경기 침체 지속미중 무역분쟁 및 경쟁사 거센 도전 잇따라"새롭게 창업한다는 각오" 강조… 사실상 비상경영체계 돌입학계, '근거-정당성' 결여된 무리한 수사, 결국 기업만 피해 경고
  •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해 2월 경영일선에 복귀한 이후 보이고 있는 경영행보에 재계 이목이 집중된다. 올해 들어서는 국내외 가리지 않는 광폭 행보로 관심이 더욱 집중되고 있다.

    이를 두고 재계에서는 삼성이 처한 경영 상황이 심각한 수준이라는 것을 방증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정부의 긍정론과 달리 국내 경기는 침체가 지속되고 있고 미중 무역분쟁 및 경쟁사들의 도전은 거세다. 이 부회장이 일선에서 직접 발로 뛰며 경영현안을 직접 챙기는 이유다. 

    그럼에도 국내에서는 삼성에 대한 부정적 편견은 쉽게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회계 문제가 대표적이다. 무차별적인 트집잡기가 지속될 경우 기업의 생존을 위협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2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지난해 2월 경영에 복귀한 이후 국내외에서 숨가쁜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 지난해 3월 유럽을 시작으로 주요 거래선 점검에 직접 나서고 있다.

    지난 1년 6개월간 이 부회장의 해외 출장은 확인된 것만 12번으로 지구 한 바퀴를 휘감을 정도다. 하지만 단순히 해외사업장을 둘러보고 사업 현안을 점검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글로벌 대표 기업으로서 민간 외교 역할까지 톡톡히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7월 인도 노이다 휴대전화 공장를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과 함께 모디 총리를 만난 것을 시작으로 10월에는 베트남 하노이에서 응우옌 쑤언 푹 총리를 면담한 바 있다.

    올해 들어서는 지난 2월 청와대에서 열린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국빈오찬에 초청을 받았고 아랍에미리트(UAE)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나흐얀 왕세제의 화성 반도체 공장을 방문하면서 직접 안내 역할을 맡았다. 이와 함께 지난 27일에는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겸 부총리와 만나 글로벌 경제 및 투자 등의 의견을 나누기도 했다.  

    최근에는 국내 사업도 직접 챙기기에 팔을 겉고 나선 상태다. 반도체, 모바일 등 삼성전자의 주력 사업을 비롯해 비전자 계열사까지 주요 사업현안 등을 점검하는 한편 미래사업 발굴 의지도 높이고 있다. 

    이 부회장은 "그 동안의 성과를 수성하는 차원을 넘어 새롭게 창업한다는 각오로 도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두고 재계에서는 삼성이 사실상 비상경영에 돌입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최근의 실적 부진과 미중 무역분쟁 등 대내외 환경이 과거 어느 때 보다 녹록치 않다는 위기감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것이다. 

    실제 삼성전자는 현재 전방위적 위기 상황에 둘러싸인 모습이다.

    표면적으로는 반도체 의존도가 80%에 달하는 삼성전자는 업황 부진으로 지난 1분기 10분기 만에 최저 실적을 기록한 바 있다. 게다가 미국과 중국간 무역분쟁으로 글로벌 경기가 침체를 보이고 있는 점도 경영 상황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속내를 들여다 보면 국내에 팽배한 잘못된 선입견이 삼성의 어려움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정당성과 근거에 대한 지적이 끊이지 않는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가 대표적이다. 

    게다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회계 분식 의혹을 규명하는 데서 한참 벗어나 제일모직과 삼성물산 합병과정까지 수사를 확대하며 무차별적인 삼성 때리기에 나서고 있는 검찰 역시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게 재계의 분석이다. 

    현재 검찰은 삼성바이오 분식회계가 없었으면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 삼성바이오 상장도 불가능했다는 전제 아래 수사를 진행 중이다.

    기업 한 곳을 대상으로 20여번이나 압수수색을 진행한 것은 물론 임직원들을 잇따라 구속하고 있는 상태다. 사실상 업무에 마비가 걸릴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학계에서는 근거와 정당성이 결여된 무리한 수사로 결국 기업이 피해를 받게 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피의사실공표를 통해 피의자를 압박하고 유죄의 심증을 부추기는 여론전을 벌이는 것은 글로벌 위상을 낮추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삼성바이오 회계 처리 문제의 경우 충분히 다툼의 여지가 있다는 법원의 판단에도 불구하고, 검찰의 수사는 윗선에 대한 압박 강도를 높여가고 있는 등 시장의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

    실제 증권선물위원회가 법원을 상대로 낸 삼성바이오 행정제재 집행정지 처분과 관련 1심과 2심 모두 집행을 정지하라고 판시했다. 이는 삼성바이오 측 손을 들어준 것으로 분식회계 혐의의 유무죄 여부를 아직은 단정할 수 없다는 판단을 내린 것이다. 

    이에 대해 이병태 카이스트 경영학과 교수는 "수사의 근거가 되는 분식회계 자체가 법원에 의해 다투고 있고 가청분 소송에서 법원이 충분히 다툼의 여지가 있다고 하는데, 압수수색 기간이 아닌 과거에 이뤄진 자료 삭제를 증거인멸이라고 구속하고 있다"며 "회계 분식을 기정사실로 놓고 수사하지 않는 한 정당성이 없고, 설혹 회계 분식이라고 해도 압수수색 영장이나 수사 개시 이전의 자료 파기 행위는 증거인멸이 될 수가 없다"고 꼬집었다. 

    조동근 명지대 명예교수 역시 "(삼성바이오)수사가 고의성을 보고 수사를 하고 있는데 입증을 하지 못하면 기업에 피해를 입힌 것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며 "국내외 투자자들이 있는데 근거없는 수사가 무리한 수준"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