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경제의 버팀목인 중소기업의 자금 사정이 악화되고 있다. 이에 일부 기업들은 보유한 기계설비, 재고자산 등을 담보로 돈을 빌리는 사례도 늘고 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국민·신한·우리·하나은행 등 4대 은행이 취급한 동산담보대출 규모는 약 1조271억원에 달했다.
올해 1월 말 기준 관련 대출잔액이 6270억원인 점을 감안하면 5개월 새 약 4000억원 규모의 대출이 이뤄진 셈이다.
동산담보대출은 기계설비, 재고자산, 농축수산물, 매출채권, 지식재산권 등 기업이 보유한 동산을 담보로 대출을 해주는 상품을 말한다.
지난해까지 지식재산권(IP담보대출)을 보유한 벤처·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주로 자금지원이 이뤄졌다면 올해는 중소기업이 보유한 기자재를 담보로 돈을 빌리는 대출 신청도 급증한 것이다.
실제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된 2월부터 일반 동산담보대출 신청 수가 늘었다. 3월 일반 동산담보대출이 약 412억원이 늘어난 이후 매월 400억원 이상 대출이 증가하고 있다.
중소기업이 동산담보대출을 찾는 이유는 정부가 마련한 코로나19 지원 혜택을 받지 못하거나 기존 담보대출에서 신용도가 낮아 거부당하는 사례가 있어서다.
결국, 동산담보대출의 경우 신용도보다 기업의 경제 활동을 우선으로 보기 때문에 이들의 숨통을 틔게 해준 셈이다.
동산담보대출 금리는 기업 신용도에 따라 이자율이 다르지만, 평균 2% 초반에서 4%까지 차등 적용된다.
은행 입장에서도 최대한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관련 상품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특히 동산담보대출은 금융당국에서도 활성화를 주문하고 있는 만큼 부담이 덜하다는 입장이다.
금융당국은 최근 동산·채권·지식재산권을 담보로 하는 대출과 관련해 부실이 발생하면 면책권을 주기로 했다.
일각에선 중소기업이 도산할 경우 은행도 자금 회수가 어렵다고 지적한다.
중소기업의 기계설비가 환금성이 낮고 이미 설비 구입에 필요한 자금도 빌렸기 때문에 회수 절차에서 우선순위가 밀릴 수 있단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동산담보대출은 현재 상황에서 중소기업들에게 오아시스 같은 존재지만 이를 철저하게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