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특별지위 박탈…해외IB 대체 도시 찾기 분주싱가포르, 시드니 등 경쟁력 우수…한국 뒷걸음질
-
미국이 홍콩에 대한 특별지위 박탈을 추진하면서, 이를 대체할 도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지난 참여정부 시절부터 ‘동북아 금융허브’ 전략을 추진해 왔지만, 여전히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평가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홍콩을 대신할 대체 도시로 싱가포르, 시드니 등이 거론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반사이익을 기대하고 있지만, 종합적인 평가에서 크게 뒤처진다.
싱가포르는 대체투자의 성장, 정치적·사회적 안정성에 힘입어 아세안 투자를 중심으로 존재감을 확대하고 있다.
호주의 경우 퇴직연금 시장 등의 자산운용업을 중심으로 자국펀드운용 서비스의 수출 및 해외금융회사 유치를 추진 중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강한 실물경제 기반과 풍부한 연금자산 축적, IT시스템 발달은 강점으로 꼽힌다. 하지만 국제업무능력 부족과 경직적인 규제환경, 낮은 자본수익률 등은 약점이다.
금융당국도 ‘제5차 금융중심지의 조성과 발전에 관한 기본계획’을 세우면서 국내 투자자의 모국투자편향, 외국계 금융회사의 본점 수익성 악화 등을 아쉬운 점으로 꼽았다. -
2015년 6위였던 시절을 되짚어보면 5년 새 우리나라의 금융경쟁력은 뒷걸음질 친 것이다. 반면 도쿄는 3위, 중국 상하이 4위, 싱가포르는 5위에 올랐다.
2017년 세계경제 포럼 평가 결과 역시 우리나라의 금융시장 성숙도는 137개국 중 74위, 은행 건전성 91위를 기록했다.
원인은 정부의 과도한 개입에서 찾을 수 있다.
우리나라의 금융산업은 산업적 측면에서 육성되기보다는 정책 수단으로 과도하게 이용되고 있다.
또 가계부채 등 시장위험은 주요 국가 중 가장 높은 나라가 됐지만 은행의 건전성, 자본력 등은 가장 약한 국가로 분류되고 있다.
이 점이 정부가 정책적으로 서울, 부산 등 주요 도시를 금융중심지로 육성했음에도 불구하고 금융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한 셈이다.
일각에선 우리나라가 아시아 금융허브로서 부상하기 위한 선결 조건으로 ‘원화의 국제화’, ‘영어의 공용화’ 등을 거론하고 있다.
이에 키움증권 서영수 애널리스트는 “본질은 다른 데 있다. 이보다 먼저 금융시스템이 안정적으로 구축돼 금융위기 발생 가능성이 없고 소액주주의 권리가 정부로부터 보호받아 금융소비자, 투자자들이 충분히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시장 환경이 조성돼 있을 때 가능한 얘기”라고 지적했다.
한편 동북아 금융허브 전략은 지난 2003년 수립됐다. 이후 2007년 금융중심지 조성과 발전에 관한 법률을 제정, 2008년부터 금융중심지추진위원회를 구성해 3개년의 기본계획을 수립, 추진하고 있다.
올해로 5차 금융중심지 기본계획이 세워져 2022년까지 금융경쟁력 강화에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