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5G 투자 목표치 미달, 비용 부담 커져'코로나19' 재확산 영향 경영환경 악화5G 가입자 감소 전망 속 투자재원 마련 비상
-
정부의 5G 투자 압박이 가중되면서 올 하반기 사업전략을 두고 이동통신사들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코로나19' 장기화로 대규모 투자에 대한 부담이 높아진 데다가, 자급제 확산으로 5G 가입자 유치까지 난항이 예상되기 때문이다.2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상반기 이동통신 3사의 5G 설비 투자 비용은 3조 4400억원으로 나타났다.지난 4월 이통 3사는 상반기 5G 설비 투자 규모를 기존 2조 7000억원에서 4조원으로 늘리기로 했지만, 코로나19 여파로 당초 목표한 5G 망 구축 등에 제동이 걸린 것으로 파악된다.상반기 투자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한 부담도 크지만 하반기부터는 정부의 '한국판 뉴딜' 정책에 따라 5G 전국망 구축(2022년 상반기)을 목표로 관련 투자 규모를 대폭 늘려야 하는 상황이다.이통 3사가 향후 3년 간 약속한 투자 규모는 24조 5000억~25조 7000억원이다. 현재까지 각 사는 이 같은 투자 규모와 관련해 향후 차질이 없도록 효율적 비용 집행에 나선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이통사 관계자는 "다양한 외부 환경 요인에 따라 일부 변동이 있을 수 있지만 현재까지 발표한 투자 규모의 경우 벌써부터 부담을 느낄 수준은 아니다"라며 "2022년 5G 전국망 조기 구축을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다만 코로나19 상황이 급속히 악화되면서 당장 올 하반기 5G 설비 투자도 장담할 수 없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오프라인 매장의 잇따른 매출 감소와 함께 5G 가입자 증가세 둔화 등으로 투자재원 마련이 쉽지 않을 것이란 판단에서다.5G 요금제의 경우 LTE에 비해 고가로 형성된 만큼 이통 3사 수익 확대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5G 자급제 단말에서도 LTE(4G) 요금제 가입이 공식적으로 가능해지면서 가입자 성장이 둔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관련 업계에선 최근 자급제 단말에 대한 선호도가 점차 높아지는 점에 비출 때 LTE 요금제 전환율이 적지 않을 것으로 내다본다. 이에 따라 하반기를 기점으로 5G ARPU(가입자당 평균 매출)에 악영향도 점쳐지고 있다.이통사 판매점 등 오프라인 매장 역시 코로나19에 따른 방문객 감소로 관련 매출이 급감한 상태다. 여기에 정부의 제재로 이통사가 판매점에 지급하는 판매장려금도 줄어들면서 이 같은 현상은 가속화되고 있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업계 한 관계자는 "이통사의 5G 설비 투자 노력에도 불구 대내외적인 사업환경 변화로 인해 목표치에 도달할 수 있을지 불투명한 상황"이라며 "기존 5G 투자 비용을 회수하기도 벅찬 만큼 정부 역시 5G 투자에 대해 압박하기 보다는 부담을 줄여주는 다양한 지원책을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