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3년 6월 프랑크푸르트서 신경영 발표'양보다 질'… 외형 중시 관습 탈피 계기"변하지 않으면 살아남지 못한다"… 체질개선 총력
  • ▲ 지난 1993년 6월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프랑크푸르트 캠핀스키 호텔에서 신경영을 선언하고 있다.ⓒ삼성
    ▲ 지난 1993년 6월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프랑크푸르트 캠핀스키 호텔에서 신경영을 선언하고 있다.ⓒ삼성
    "국제화 시대에 변하지 않으면 영원히 2류나 2.5류가 된다. 지금처럼 잘해봐야 1.5다. 마누라와 자식 빼고 다 바꿉시다"

    글로벌 삼성을 일궈낸 이건희 회장의 유명한 신경영 선언이다. 이건희 회장과 현재의 삼성을 얘기할때 빠지지 않는 일화다. 아버지인 삼성의 창업주 고 이병철 회장이 삼성을 한국 대표 기업으로 키웠다면 이건희 회장은 삼성을 글로벌 대표 기업으로 도약시켰다.  

    이건희 회장의 신경영 선언은 글로벌 경영환경의 격변 속에서 살아 남기 위해서는 일류가 돼야 하고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기업이어야 하는데, 삼성의 수준은 그렇지 못하다는 진단에서 출발했다.

    삼성은 실질보다 외형 중시의 관습에 빠져 있었다. 일선 경영진의 관심은 지난해에 비해 얼마나 많이 생산하고 판매하는 것에 집중햇다. 당장 눈앞의 양적 목표 달성에 급급하자 부가가치, 시너지, 장기적 생존전략과 같은 질적 요인들은 소홀햇다.

    이처럼 1990년대 초반 삼성은 위기의식을 갖지 못한 채 국내 제일이라는 자만에 빠져 있었던 것이다. 

    당시 이건희 회장은 "우리는 자만심에 눈이 가려져 위기를 진정 위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자기 자신의 못난 점을 알지 못하고 있다"며 "이대로 가다간 망할지도 모른다는 위기를 온몸으로 느끼고 있다. 내가 등허리에 식은땀이 난다"고 할 정도였다.

    실제로 삼성이 만든 제품은 동남아 등 일부 시장에서 부분적으로 성공을 거두고 있을 뿐, 미국, 일본 등 선진국 시장에서는 싸구려 취급을 받고 있었음. 이런 수준으로는 세계 초일류기업은 고사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조차 없겠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마침내 이건희 회장은 1993년 2월 전자 관계사 주요 임원이 참석한 가운데 미국 LA에서 전자부문 수출상품 현지비교 평가회의를 주재했다. 삼성이 잘한다고 자부하며 만든 제품들이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어떤 대우를 받고 있는지 두 눈으로 직접 확인해보자는 취지에서다.

    현지 매장에서 삼성 제품은 고객으로부터 외면받아 한쪽 구석에 먼지를 뒤집어 쓴 채 놓여 있었다. 

    임원들과 함께 이를 둘러보던 이건희 회장은 "삼성이란 이름을 반환해야 한다. 한쪽 구석 먼지 구덩이에 처박힌 것에다 왜 삼성이란 이름을 쓰는가"라며 "그나마 진열대에 놓여 있는 제품 중에는 뚜껑이 깨져 있거나 작동이 안 되는 것도 있지 않은가? 이는 주주, 종업원, 국민, 나라를 기만하는 행위"라고 통탄했다.

    이건희 회장은 이대로 있으면 삼류, 사류로 전락하고 망할지도 모른다는 절체 절명의 위기감을 전 임직원이 공감하고 대전환의 길을 선택해야 했다. 그것은 양(量)이냐 질(質)이냐의 선택이었고, 국내 제일에 머물 것인가, 세계 시장으로 나가 초일류로 도약할 것인가의 선택이었다.

    이에 이 회장은 1993년 6월 4일 이건희 회장은 일본 도쿄에서 삼성의 경영 현장을 지도해 온 일본인 고문들과 삼성이 지닌 문제점들에 대해 회의를 가졌다. 새벽까지 이어진 회의에서 이건희 회장은 디자인 수준을 어떻게 올려야 할 지에 대한 고민을 털어 놓았다.

    삼성전자 정보통신부문 디자인부서를 지도했던 후쿠다(福田) 고문은 삼성전자에서 4년간 근무하면서 보고 느낀 점을 이야기했다. 일류상품은 디자인만으로는 안 되고 상품기획과 생산기술 등 일체화가 필요한데 삼성은 상품기획이 약하고 오랜 기술개발 시간, 시장에 물건을 내놓는 타이밍도 놓치고 있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었다.

    보고서에서 거론되고 있는 사항들은 그 동안 이건희 회장이 숱하게 지적하며 고치기를 강조해온 고질적 업무관행이었다. 도쿄에서 프랑크푸르트로 향하는 기내에 동승했던 사장단에게 이 사실을 이야기하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를 논의하게 했다. 

    그 논의는 프랑크푸르트에서도 이어졌다. 프랑크푸르트에 도착한 이건희 회장은 세탁기 조립 라인에서 직원들이 세탁기 덮개 여닫이 부분 규격이 맞지 않아 닫히지 않자 즉석에서 덮개를 칼로 깎아 내고 조립하는 모습이 담겨 있는 품질고발 사내방송 프로그램 비디오테이프를 받아 보고 또 다른 충격을 받았다.

  • ▲ 지난 1993년 6월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프랑크푸르트 캠핀스키 호텔에서 신경영을 선언하고 있다.ⓒ삼성
    ▲ 지난 1993년 6월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프랑크푸르트 캠핀스키 호텔에서 신경영을 선언하고 있다.ⓒ삼성
    1993년 6월 7일 마침내 이 회장은 비장한 각오로 임원과 해외주재원 등 200여 명을 프랑크푸르트 캠핀스키 호텔로 불러 모아 새로운 삼성을 여는 회의를 주재했다.

    회장으로 취임한 이후 이 회장은 세기말적 변화에 대한 기대와 위기감으로 잠 못 이루는 밤이 많았다. 때로는 찬란한 비전과 희망에 흥분하기도 했고, 때로는 무섭게 엄습해오는 책임감 때문에 등골이 오싹해지기도 했다. 

    이런 변화는 삼성에게 새로운 도약의 계기가 될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모든 것을 빼앗아 가 버리는 종말의 시작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었다.

    사장단 회의를 갖고 여러 선진국들을 둘러보면서 이건희 회장은 국가도 기업도 개인도 변하지 않으면 살아 남지 못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회장 자신부터 변해야겠다고 결심했다. 삼성이 뼈를 깎는 아픔을 감내하고 스스로 변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섰다. 

    마침내 이 회장은 결단을 내리게 된다. 1993년 6월 7일 프랑크푸르트에 선언을 한 것이다.

    이 회장은 "삼성은 이제 양 위주의 의식, 체질, 제도, 관행에서 벗어나 질 위주로 철저히 변해야 한다"고 선언하며 대변혁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