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점포의 매출 활성화 및 미래 지속 성장을 위한 시스템 구축 업계 1위 점포당 매출, 최저 가맹 해지율, 동반성장 ‘최우수’ 등급 수상경영주와 소통을 통한 경영주 상생 모델, 가맹사업의 우수모델로 자리잡아
  • ▲ ⓒGS리테일
    ▲ ⓒGS리테일
    GS리테일의 편의점 GS25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어려운 점포 매출 활성화 지원과 미래 지속성장을 위해 라이프 스타일 플랫폼 시스템 구축 등 점포의 실질적 수익 개선을 위한 2021년 상생 지원 제도를 4일 발표했다.

    GS25 측은 “출범 31주년을 맞아 경영주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고, 미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상생 지원 제도 및 투자 방안을 마련한 것”이라고 말했다.

    GS25는 경영주와의 진심 어린 소통을 통해 마련된 2021년 상생 지원 제도를 통해 가맹 경영주에게 단순 일회성 지원이 아닌 인프라 지원 및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매출 활성화 및 수익 극대화를 위해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GS25 점포당 하루 평균 매출은 업계 2, 3위 업체 평균 대비 35만원(2019년 가맹사업 정보공개서 기준) 이상 압도적인 차이를 유지하고 있다. 가맹 해지율 역시 업계 최저인 1.1%로 경쟁사 대비 월등히 낮은 수치(경쟁사 2.8%~6.2%, 2019년 가맹사업 정보공개서 기준)다.

    GS25가 2021년 신설한 주요 상생 지원 내용은 ▲수익부진점 및 매출재난지역 매출 활성화 지원 ▲자연재해 피해 위로금 지원 ▲차별화 카테고리 지원 ▲모바일신분증 확인 서비스 운영 지원 ▲점포 운영 효율화 비용 지원 ▲뉴컨셉 점포 투자 증대 및 온라인 비대면 서비스 강화를 위한 투자 ▲뉴컨셉 점포 전개 투자, 자동발주 고도화, 배달 서비스 강화 등 시스템 개선을 통한 점포 지원 등의 Platform Biz 강화 등이다.

    이번 상생 협약에서 추가되는 수익부진점 및 매출재난지역 매출활성화 지원, 자연 재해 위로금 지원은 코로나19와 예년에 비해 급격히 변화하는 기후 등으로 영업 활동에 어려움이 있는 점포 및 지역에 추가적인 지원을 통해 위기 극복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자 기획했다.

    또한 매출이 신장하고 있는 카테고리 카페25의 정기점검 서비스 도입 및 장비 수리비 지원, 모바일 운전면허증 운영 수수료 지원, 프리미엄 노무 서비스 도입 등 효율적 점포 운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Platform Biz 강화를 위한 투자는 변화하는 사회적 경제 환경에서 적극 대응하고자 편의점 운영 환경 개선을 위해 전개된다. 뉴컨셉 점포 전개 투자 확대, 자동 발주 시스템 고도화, 배달 서비스 개선, BOX25 투자, 점포 유형화 시스템 고도화, 지역화폐 결제 시스템 투자 등을 통해 GS25가 라이프 스타일 플랫폼으로 확고히 자리잡기 위한 것이다.

    GS25는 경영주 협의회, 발전위원회 등 본부와 가맹 경영주간 다양한 소통 채널을 운영해 본부와 경영주의 자발적인 의지로 상호 협력을 통해 공동 성장을 추구하고자 상생 협약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는 대한민국 명실공히 가맹사업의 우수모델로 자리잡았다.

    GS25는 가맹점 전기료를 100%(전기료 50% + 야간매출활성화지원금 최대 50만원) 지원하는 파격 상생 제도, 가맹점 이익 배분율 평균 8%를 높인 신가맹조건 적용, 차별화 먹거리 우수 운영 가맹점 특별 지원, 경쟁사에는 없는 택배 보험 신설 및 횡령 보험 확대 등 상생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신상욱 GS25 상생기획팀장은 “2021년에는 점포 운영에 어려움이 있는 경영주를 위한 매출 활성화 및 편의점 GS25의 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시스템 마련에 주안점으로 두고 상생안을 진행한다”며, “GS25는 자부심과 책임감을 가지고 최선의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