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빚 GDP의 100% 육박… 영끌·빚투에 주담대 '껑충'증가속도 빠르고 단기부채 비중 커… "금리상승시 위험↑"나랏빚 내년 1100조 근접… 홍남기 "빠른 증가속도에 경각심"
-
중국발 코로나19(우한 폐렴) 이후 반등을 노리는 한국경제가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빚더미에 발목이 잡힐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나랏빚과 가계빚 모두 증가속도는 물론 부채의 질도 나쁘다는 지적이 나온다.조세재정연구원이 지난달 내놓은 월간 재정포럼 3월호에 따르면 지난해 2분기 기준으로 한국의 가계빚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98.6% 수준이다. 전 세계 평균 63.7%, 선진국 평균 75.3%보다 높다.'국가별 총부채와 부문별 부채의 변화추이 비교'자료를 보면 가계빚 증가 속도는 세계 금융위기가 고조됐던 2008년(71.0%) 이후 27.6%포인트(P) 증가했다. 전 세계 평균 증가 속도 3.7%와 선진국 평균 마이너스(-)0.9%와 비교하면 가파른 증가세다.부채의 질도 좋지 않다. 한국은 1년짜리 단기부채 비중이 22.8%를 차지했다. 유럽 주요국의 경우 프랑스 2.3%, 독일 3.2%, 스페인 4.5%, 이탈리아 6.5%, 영국 11.9% 등이다. 많게는 10배 이상 많다. 한국보다 단기 비중이 높은 주요국은 미국이 31.6%로 유일하다. 단기부채 비중이 높다는 것은 유동성 위험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한국은 가계의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2019년 기준)도 47.2%로 높은 편이다. 금융빚을 당장 갚을 수 있는 금융자산의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로, 수치가 높을수록 부채 위험도가 크다고 본다. 미국은 17.3%, 프랑스 30.0%, 영국 28.7%, 독일 28.3% 수준이다.가계빚 중 주택담보대출 비중은 2019년 기준 GDP의 43.9%로 나타났다. 조세연은 미국 49.5%, 프랑스 45.4%, 스페인 41.6% 등과 비슷하다고 봤다. 다만 조세연은 주담대 증가 추세는 높은 편이어서 관찰과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조세연은 주담대에 전세금 규모를 합산해 주택대출을 다시 계산하면 GDP 대비 61.2%까지 비중이 올라간다고 경고했다.조세연은 "부채규모가 늘어난 현시점에서 금리가 급격하게 인상되면 이자 비용이 많이 증가하는 등 경제 전체에 충격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면서 "최근 정부에서 관리 필요성에 따라 대출규제를 강화하는 중이며 이는 가계대출의 급격한 증가를 조절하는 데 필요한 조치"라고 말했다.가계빚은 한국경제의 뇌관으로 꼽힌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가계빚 규모는 1726조1000억원이다. 1년 전보다 7.9% 늘었다. 문재인 정부 들어 내놓은 25회의 주택정책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음)', '빚투(빚내서 투자)' 등으로 인해 주담대가 급증한 데다 주식투자를 위한 신용대출까지 늘어난 결과다. 한국은행 오금화 국제협력국장은 "최근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기구에서 우리나라의 경제 전반을 평가할 때 다른 항목은 좋게 나오는데 가계부채 증가는 가장 우려하는 대목인 것 같다"고 부연했다. 금융당국은 이달 중순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확대를 골자로 하는 가계대출 안정화 방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
나랏빚도 차기 정부에 부담을 안길 정도로 급속히 불어나고 있다. 지난달 국회를 통과한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을 기준으로 나랏빚 규모는 965조9000억원까지 늘어났다.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은 48.2% 수준이다. 지난해 2월 국제신용평가사 피치는 "한국의 부채비율이 2023년 46%까지 오르면 국가신용등급이 내려갈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재정당국의 중장기 국가재정운용계획을 보면 문재인 정부 마지막 해인 내년 국가채무비율은 52.3%까지 치솟는다. 나랏빚은 1100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문제는 부채 증가 속도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와 재정당국에 따르면 2001~2018년 한국의 일반정부 부채(D2) 증가율은 연평균 11.1%다. 부채 증가율이 같은 기간 경상성장률(5.8%)보다 2배나 높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국 중 여섯 번째다.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달 18일 출석한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추경에 재정을 더 투입해야 한다는 여당 주장에 "2025년까지 증가하는 국가채무비율을 보면 우리나라는 증가 속도가 굉장히 빠르고 IMF 등 국제기구도 이런 측면을 지적한다"고 설명했다. 홍 부총리는 지난달 25~30일 국가신용등급 평가를 위한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와의 연례협의에서도 "올해 한국 경제가 수출을 중심으로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면서 "다만 나랏빚 증가 속도가 빠르다는 점에 각별한 경계심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그러나 여권은 포퓰리즘(대중영합주의)에 더 열을 올리는 모습이다. 특히 4·7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선심성 정책이 넘쳐난다. 박영선 민주당 서울시장 후보는 선거에서 이기면 1인당 10만원의 디지털화폐 지급을 공약으로 내건 상태다. 같은 당 김영춘 부산시장 후보도 당선되면 1년 안에 시민 1인당 10만원의 재난지원금 지급을 공언했다. 이들 지역에서 재난지원금 보편지급이 공론화될 경우 형평성 논란과 함께 전 국민 대상 재난지원금 지급이 다시 한번 뜨거운 감자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