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중국 등 세계 주요 국가들 6G 주도권 경쟁 치열정부, 6G R&D 실행계획 수립... 2025년까지 2000억원 투입한미 정상회담 후속조치 양국 공동연구 및 기술협력도 진행
  • ▲ ⓒ과기정통부
    ▲ ⓒ과기정통부
    세계 각국이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인 6세대(6G) 이동통신 기술 선점을 위한 경쟁이 한창이다. 우리나라는 '세계 첫 5세대(5G) 이동통신 상용화 국가'에 걸맞는 6G 원천기술 확보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2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10년마다 이동통신 세대가 교체되는 것을 감안할 때 6G의 상용화를 2028~2030년 사이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미국·중국 등 세계 주요 국가들도 차세대 이동통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며 기술패권 경쟁에 돌입한 상황이다. 

    미국은 DARPA(국방부 산하 고등연구계획국) 주도 장기 R&D에 착수한 이후 최근 주요 우방국과 6G 기술 협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중국도 2019년 6G 전담기구 출범했으며, 일본도 2020년 민관 합동 'Beyond 5G 컨소시엄'을 구성해 운영 중이다.

    이에 정부는 미래 신산업의 성장기반이 되는 6G 기술의 주도권 확보를 위해 민‧관 합동 '6G R&D 실행계획'을 수립했다. 여기에는 3대 전략 분야 ▲차세대 핵심 원천 기술 확보 ▲국제표준·특허 선점 ▲연구·산업 기반조성에 대한 세부 실행 계획이 담겼다.

    올해는 6G 기술개발의 첫 해인만큼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기틀을 닦고 핵심 장비 및 부품 국산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 차세대 핵심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서는 저궤도 통신위성, 초정밀 네트워크 기술 등 6대 중점 분야 10대 전략 기술에 2025년까지 총 2000억원의 예산을 배정했다. 

    특히 비행체(플라잉카, 드론 등)와 해상·재난지역 등에서도 Gbps급 통신 이용이 가능하도록 위성망‧지상망의 통합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위성‧지상 간 통합 접속기술을 개발하고, 2031년까지 총 14기의 검증용·실증용 저궤도 위성을 발사하는 ’위성통신기술 발전전략‘의 이행도 병행한다.

    해외 주요국들과 공조체계 마련을 위해 미국(NSF), 중국(CAICT), 핀란드(오울루대) 등과 6G 핵심기술에 대한 공동연구 및 6G 주파수의 국제협력도 추진한다. 미국 Next G Alliance 등의 글로벌 6G 민간단체와 국내 5G포럼 간의 공동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하고, 오는 11월 '6G Global' 국제행사를 개최한다.

    또한 특허청과 협력해 선정한 표준특허 확보 가능성이 높은 6G 핵심기술(2건)에 대해서는 올해부터 R&D 자금과 특허 확보 전략맵을 지원한다. 2022년도 패키지 지원을 위한 기술 분야도 추가로 선정, 사전에 전략맵을 구축할 방침이다.

    올해 3개 대학 내 6G 연구센터를 지정·운영하면서 석·박사급 인력 양성을 유도한다. 국내 중소·중견기업과 국내 대학·연구소가 공동으로 R&D에 참여하는 형태를 확대하고, 6G 기술개발 관련 글로벌 동향을 국내 산업계와 공유할 계획이다.

    아울러 한·미 정상회담 후속으로 양국 간 6G 분야 공동연구 등 교류를 확대한다.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과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간 6G 분야 공동연구를 본격 추진한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차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디지털 혁신의 근간"이라며 "6G 시대에도 글로벌 시장을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민간과 정부가 함께 과감하고 도전적인 역할을 해나가자"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