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서비스 출시 초기부터 공격적인 행보카드사, 앱카드 통해 종합금융 플랫폼 육성 사활스마트폰에 익숙하지 않은 노인 등 소외 지적
  • ▲ 관련 사진.ⓒ연합뉴스
    ▲ 관련 사진.ⓒ연합뉴스
    은행, 카드사를 중심으로 '마이데이터(본인신용정보관리업)' 선점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디지털 경쟁에서 앞서고 금융플랫폼 사업자로 변신하려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어서다. 다만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비대면 방식 위주여서 고령층 등 소외 계층이 발생하고 금융사 간 데이터 교류의 불균형 등 앞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가 적지 않다는 지적이다.

    23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권은 마이데이터 서비스 출시 초기부터 상당히 공격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빅테크와 디지털 채널 경쟁에서 패배할 경우 금융 플랫폼 사업자가 아닌 단순 금융상품 공급자로 전락할 수 있다는 위기 의식 때문이다.

    KB국민은행의 KB마이데이터에선 '목표챌린지' 서비스가 호평을 받고 있다. '배달 음식 줄이기', '한 달 예산으로 살기' 등 생활밀착형 목표를 자동으로 제안하는 서비스로 인기를 끌고 있다.

    신한은행의 '머니버스'는 '금융 인사이트' 제공은 물론 고객이 애쓰지 않아도 알아서 챙겨주는 서비스를 지향한다. 이자 납입, 공모주, 아파트 청약 일정까지 보여준다.

    하나은행은 '택시러버', '미슐랭평가단', '업글인간' 등 재미있는 키워드(페르소나)로 분류해 제시하고, 그에 따라 맞춤형 상품·서비스를 추천하는 라이프 스타일 분석이 인기다.

    우리은행 '우리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육아휴직이나 결혼, 출산, 차량, 주택, 조기 은퇴 등 대비하고 싶은 상황과 관련해 부족 자금이 얼마이고, 어떻게 자금을 모을 지를 조언해준다.

    농협은행의 NH마이데이터 서비스에선 연말정산 컨설팅이 인기다. 연말정산 시 공제 받을 수 있는 금액을 예측하고 소득수준 및 금융거래 성향을 고려한 절세상품 추천도 해준다.

    카드사들도 각사의 간편결제(앱카드) 앱을 종합금융 플랫폼으로 육성하는 데 사활을 걸고 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마이데이터로 카드 앱에서 소비·지출 관리, 금융상품 비교·가입, 자산관리 등이 가능해진다"며 "핀테크에 뺏긴 디지털금융 주도권을 되찾는 데 (마이데이터가)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한카드의 마이데이터 자산관리는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자산관리 집사'를 표방하며 183만명을 끌어모았다.

    KB국민카드의 '리브메이트'는 소비 관련 정보 분석뿐만 아니라 보험, 투자, 대출 등 종합금융서비스를 제공한다. 앞으로 주식 투자정보와 로봇어드바이저 기반 투자 자문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BC카드의 마이데이터 서비스 '내자산'은 내자산 리포트와 재테크 서비스를 내세워 인기몰이 중이다. 최근까지 68만명이 BC카드의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선택했다.

    현대카드의 마이데이터는 신용점수를 동시에 보여주고 점수 향상을 돕는 '내 신용점수 비교'로 관심을 모았다. 이 서비스에 현재까지 50만명이 가입했다.

    보험업권은 카드사에 비해 출발이 늦은 편이다. 교보생명은 이달 말에 KB손해보험은 3월 말에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미래에셋증권과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하나금융투자, 키움증권이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KB증권은 오는 29일, 현대차증권은 다음 달 중 각각 서비스를 개시한다.

    가장 발 빠르게 키움증권이 현재까지 약 30만명의 가입자를 끌어모았다. 가입 고객들은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에 탑재된 'MY자산'에서 대출 금리 비교나 펀드 수익률 진단 등을 통해 자신의 투자 성적을 점검할 수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투자 패턴·성과 분석 서비스, 투자 포트폴리오를 세밀하게 분석하는 '초개인화 자산관리서비스' 등을 확대했다.

    다만 현재 마이데이터는 비대면 채널에만 가능하다. 이 때문에 스마트폰에 익숙하지 않은 노인 등 디지털금융 소외계층은 마이데이터를 이용하기 힘들다. 이에 따라 금융 이해도가 낮은 고객에게 충분한 설명을 해줄 수 있는 상담 채널인 대면 방식의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 서비스는 국민의 동등한 접근권이 보장돼야 하는 데 현재 마이데이터는 비대면 채널에만 가능하다"며 "더 많은 금융사에서 다양한 정보를 공유 받을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