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센터 재난상황서 인터넷 연결 유지넷플릭스 통신 지연 평균 18% 단축 효과
  • ▲ ⓒKT
    ▲ ⓒKT
    KT는 비수도권 지역인 부산에 인터넷 3센터를 구축했다고 3일 밝혔다.

    인터넷 3센터는 재난, 정전 등으로 인해 수도권 위치한 메인 통신센터가 정상 작동이 불가한 상황에도 인터넷 서비스를 지속 제공한다. 비상 상황 시에는 DR(Disaster Recovery)센터로 동작하고, 평시에는 수도권에 집중된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분산 처리하는 구조(Alive DR)로 설계됐다.

    KT는 수도권 메인센터가 동시에 가동되지 않는 상황을 연출해 국내외 주요 포털 서비스와 금융, 언론, 동영상 서비스가 3센터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검증했다. 아울러 인터넷 3센터를 통해 네트워크 구조 전체가 개선되면서 넷플릭스 등 글로벌 콘텐츠의 통신 지연(Latency)도 기존 대비 평균 18% 단축되는 효과도 확인했다.

    인터넷 3센터 개소로 주요 인터넷 시설을 3중화하는 등 통신망의 안정성을 대폭 강화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고객들에게 안정적이고 더 빠른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국내외 인터넷 사업자와의 네트워크 분야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한편, KT는 통신망의 안정성이 통신사를 비롯해 플랫폼·콘텐츠 회사에게도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상황인 만큼 인터넷 3센터 연결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이라 내다봤다. 네이버클라우드 등 주요 콘텐츠 사업자는 인터넷 3센터 개통과 동시에 이를 활용해 서비스 경로를 3곳으로 나눠 트래픽을 안정적으로 분산하고 있다.

    권혜진 KT 네트워크전략본부장(상무)은 “국민들의 모든 생활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면서 통신망의 안정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사항이 높아지고 있다”며 “고객에게 고품질의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통신망 인프라의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