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언론권력으로 떠오르고 있는 포털사이트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보수세력들이 중심이 되어 포털을 견제하려는 움직임을 구체화하고 있어 주목된다.

    국내 유명 포털 사이트들. '인터넷의 관문' 역할에서 벗어나 거대 언론권력으로 떠오르고 있는 포털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뉴데일리

    가장 먼저 팔을 걷어 붙인 쪽은 기존 보수우익진영이다. 미래한국신문 김상철 대표, 자유민주비상국민회의 김형태 공동의장, 조갑제 전 월간조선 대표 등이 고문으로 참여하는 자유언론인협회(회장 양영태)가 오는 26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창립대회를 겸한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 단체의 초대회장 양영태씨는 치과 개업의로 인터넷신문 ‘치과타임즈’를 발행하고 있다.

    오는 26일 포털견제를 선포한 '자유언론인협회'가 창립대회를 연다 ⓒ뉴데일리
    자유언론인협회는 현재 포털의 뉴스 서비스가 기존의 언론매체가 가지지 못했던 막강한 영향력을 갖고 있다고 보고있다. 또 이 영향력이 5.31 지방선거와 2007년 대선에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포털이 단순히 기사를 나열하는 것이 아닌 나름의‘편집 기준’을 가지고 뉴스를 선별하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정부의 눈치를 볼 수 밖에 없는 대기업들이 포털을 운영하는 만큼 정부와 여당의 입맛에 맞는 기사만 노출이 되고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그래서 26일 열리는 토론회의 주제도 ‘2007년 대선, 포털이 결정’으로 결정됐다.

    뉴라이트 진영도 포털의 막강한 영향력에 우려섞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자유주의연대 김혜준 정책실장은 13일 동아일보에 포털의 사회적인 책임을 강조하는 시론을 올렸다. 김 실장은 ‘포털 사회적 책임 요구 외면 말길’이라는 시론에서 “포털(미디어 다음 제외)은 뉴스를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생산된 뉴스를 유통시킬 뿐이었다. 그러나 이제 단순 유통에 그치지 않고 여론을 직접 주도하게됐다”며 “‘어느 매체의 기사를, 어떤 위치에, 어떻게 노출시킬지, 그리고 제목을 어떻게 다는지’에 따라 여론의 향배가 달라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마치 소비자들이 대형 할인유통업체로 몰리면서 이 업체가 어느 제조사의 상품을 어느 코너에 어떻게 진열하는지에 따라 제조사가 흥하고 망하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포털에 대해서는 아무런 규제를 할 수 없다는 것이 김 실장의 지적이다. 그는 “과도한 사회적 책임이 부과되는 신문과는 달리 포털은 막강한 여론 주도 파워에도 불구하고 언론 매체로서 아무런 책임도 지지 않으며 사회적 견제와 감시에서 자유롭다”고 말했다. 그는 “집권 권력의 입장에서 볼때 포털만큼 편리한 도구도 없을 것”이라며 “포털의 특성 때문에 권력에서 배제된 야권은 피해를 볼 가능성이 크다. 포털과 권력의 잘못된 만남을 계속 내버려 두어서는 정치도 포털도 발전하지 못한다. 이제라도 그 영향력에 걸맞은 사회적 책임을 포털에 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라이트닷컴이 포털 관련 좌담회를 열었다. 뉴라이트진영에서도 포털의 권력화에 대해 우려섞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뉴데일리
    김 실장의 시론에 앞서 자유주의연대 정치 웹진인 ‘뉴라이트 닷컴’은 지난 1일 창간 1주년 기념 좌담회에서 포털의 권력화 문제를 다뤘다. 뉴라이트진영에서도 점점 커져만 가고 있는 포털의 영향력을 좌시할 수 없다는 분위기가 형성되어가고 있다.

    한편 이른바 진보진영으로 분류될 수 있는 전 브레이크뉴스 편집장이자 칼럼니스트 변희재씨도 포털에 대해 매우 비판적인 시각을 갖고 있다. 그는 ‘포털피해자의 모임’ 대표를 맡고있기도 하다.

    변씨는 14일 뉴데일리와의 전화통화에서 “일반 종이 신문이 경품을 끼워 구독을 권유했다는 이유만으로 무거운 제재를 받고 있다. 반면 현행 포털은 이메일, 게임, 쇼핑 등 각종 컨텐츠에 뉴스를 끼워 팔고있지만 이를 제재할 관련 법규가 전혀 없다”고 지적했다. 이미 언론 이상의 영향력을 발휘하는 포털이지만 이를 제재할 방법이 전혀 없다는 것.

    지난해 7월 신문 등의 자유와 기능 보장에 관한 법률(이하 신문법)이 시행됐다. 이 법률은 기존 종이 신문 외에도 인터넷 신문까지 언론의 권한과 의무를 부여했다. 그러나 포털은 신문법의 제재를 받지 않는다. 바로 인터넷 신문의 경우 ‘자제 생산 뉴스가 전체 뉴스의 30% 이상이어야 한다’는 조항 때문이다.

    변씨는 이 ‘30%’ 조항 때문에 포털이 오히려 득세를 했다고 본다. 언론의 자격요건을 갖추지 못한 포털이 뉴스를 다루는 것 자체가 잘못된 것이라는 것. 그는 “노무현 정부와 문화관광부는 포털이 마음껏 영업을 하도록 방치를 하고 있다. 정치적인 의혹이 있다고 밖에는 설명이 안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막강한 포털을 견제하기 위해서는 포털 메인 화면의 약 50%는 뉴스를 노출시키는 방법을 써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약 20%만 드러나는 현행 편집방법 대신 50% 정도를 노출시킨다면 포털 나름의 편집 방식이 드러날 것이라는 설명이었다.

    포털의 폐해를 지적하는 이들이 또 있다. 지난달 중소 인터넷 컨텐츠 제작 업체들이 포털 사이트에 대항해 연합 사이트를 만들겠다고 나선 것이다. 디씨인사이드, 미디어몹, 웃긴대학 등 인터넷 콘텐츠 업체들은 ‘거대 포털의 횡포 때문에 소형 인터넷 업체들의 생존이 위협받고 있다’고 보고 이런 행동을 취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대형 포털들이 컨텐츠를 거의 헐값에 제공하기를 강요하고 있고 또 무단으로 이들의 자료를 퍼가고 있다고 항의하고 있다.

    곳곳에서 터져나오는 포털을 향한 우려섞인 목소리가 현행 법 개정으로 이어질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