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모델 부재‥기업 상대 '일탈 행위' 증가
  • 광고주들의 권익보호단체인 한국광고주협회(회장 정병철)가 17일 산하 사이비언론신고센터를 통해 광고·협찬을 강요하는 언론사로부터 피해를 당한 사례를 조사한 결과, 일부 언론들이 계열 신문을 창간해 추가 광고수입을 노리거나, 타 신문들과  기업에 대한 부정적 기사나 정보를 수시로 공유하며 기업들을 압박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 한국광고주협회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프라임경제, 한국증권신문, 일요시사, 시사서울비즈, 메디컬투데이 등 5개사를 '광고주가 뽑은 나쁜 언론'으로 선정"한 뒤 "이들을 포함한 일부 언론이 인터넷언론의 설립은 용이하되 당국의 관리감독은 쉽지 않다는 점을 틈타, 신문사를 설립하고 기업에 광고·협찬을 강요하는 행위들을 일삼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협회는 향후 네이버, 다음 등 주요 포털사이트에 '검색 제한'을 요청하는 한편, 언론의 정도를 벗어난 인터넷 언론에 대해서는 발행정지, 등록취소 등 퇴출을 강제할 수 있도록 주무부서에 '관리감독 강화'를 요청할 계획이다.

    협회 관계자는 일부 언론의 보도관행 문제와 관련 "과거에는 발행부수가 미미한 언론들을 무시할 수 있었지만 최근에는 포털에 기사가 올라오면서 소비자들이 기사의 진위여부와 관계없이 사실로 받아들여 기업의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일부 문제가 있는 언론들이 이를 악용하고 있고, 파급력 있는 포털이 언론사가 기생하는 숙주가 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현행법상 인터넷 신문은 누구나 등록만 하면 설립이 가능하도록 돼 있어 언론사들이 난립하고 있다"며 "취약한 재무구조, 뚜렷한 수익모델 부재 등으로 일부 영세한 언론사들의 일탈 행위가 갈수록 심각해 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국내에 등록된 인터넷신문은 2011년 5월 기준으로 총 2577개에 달하고 있는데, 문광부 정기간행물 등록현황에 따르면 지난 2년 동안 약 1000여개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관계자는 "취재 능력이 부족한 많은 인터넷신문들이 대부분의 기사를 통신사로부터 받아 그대로 게재하고 중간에 의도적으로 부정적인 기업 기사를 싣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한 매체가 이미 악용한 정보 소스를 타 매체와 공유해 해당 기업은 같은 기사에 대해 수차례 대응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고, 몇 개월 심지어는 몇 년 후에 다시 그 기사를 재탕하는 매체도 있다"고 하소연했다.

    또한 "등록제이며 관리감독이 허술한 틈을 타 광고수익을 늘리려는 방편으로 한 매체가 취재인력도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추가로 매체를 여럿 설립해 같이 영업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다.

    인터넷신문, 누구나 등록만 하면 설립 가능

    현행법상 인터넷신문은 취재 및 편집 인력 3인만 있으면 설립할 수 있도록 돼 있다.

    취재 인력 2명 이상을 포함해 편집 인력 3명 이상을 상시적으로 고용하도록 돼 있으나(신문 등의 진흥에 관한 법률 시행령 2조) 현실적으로 인터넷신문에 대한 관리감독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2009년 언론진흥재단의 조사에 따르면 종사자 수를 밝힌 309개사 중 종사자 수가 3인이 안 되는 곳이 30개사, 취재기자가 2인 이하는 76개사, 취재기자가 단 한명도 없는 곳이 45개사였다.

    심지어 청년취업인턴제 등을 통한 국가보조금을 받기 위해 6개월 단위로 인턴기자의 채용과 계약 해지를 반복하는 인터넷신문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전경련 산하 159개사 "언론 피해 경험"

    광고주협회가 지난해 11월 전경련 427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언론사에 의한 피해 사례를 조사한 결과, 응답업체 342개사 중 159개사가 "인터넷신문으로부터 피해를 당한 적이 있다"고 답한 것으로 드러났다.

    피해경험이 있는 기업들 가운데 46%는 대표적인 피해사례로 오보·왜곡 보도를 들었고, 45%는 강압적인 협찬·광고 요구를 지적했다.

    인터넷신문의 부당한 언론활동에 대해 사법당국에 신고 등 적극 대응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선 "보복성 기사 게재 가능성"이라는 답변이 42.5%로 집계됐다.

    오보·왜곡보도에 대해선 응답기업의 87%가 "적극 대응한다"고 답변했고 정정 보도 요청에 대해 인터넷신문의 절반 정도가 수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