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3사, 2022년까지 5G 구축 '25조' 투자키로文 정권 임기 얼마 남지 않았는데… 5년 계획 지속성 보장 의구심"세계 쥐락펴락 'GAFA' 대응 전략 한 구절도 찾아 볼 수 없다" 지적도
  • ▲ 지난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과기정통부 장관-통신3사 CEO 간담회'가 열렸다. ⓒ 과기정통부 제공
    ▲ 지난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과기정통부 장관-통신3사 CEO 간담회'가 열렸다. ⓒ 과기정통부 제공

    정부가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발표한 이후 국내 ICT 업계가 해당 계획의 한 축인 '디지털 뉴딜'을 지원키 위한 화답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다만 새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디지털 정책 가이드라인이 지속해 바뀌고 있는 상황에서 임기가 얼마남지 않은 현 정권에 대한 투자가 다음 정권에서 중첩, 부담이 가중될까 노심초사 하는 분위기도 존재한다.

    ◆통신3사, 2022년까지 5G 구축에 '24.5~25.7조원' 투자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통신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 CEO들은 지난 15일 5G 인프라 조기구축을 위해 향후 3년간(2020~2022년) 유·무선 통신인프라 등에 약 24.5~25.7조원 투자를 추진키로 합의했다.

    정부의 '뉴딜 종합계획' 발표 이후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소집한 통신3사 대표 긴급 간담회에서 각사 수장들은 이 같이 뜻을 모았다.

    주요 내용으로는 올해 서울·6대 광역시를 중심으로 ▲다중이용시설 2000여개 ▲수도권 2·9호선 등과 비수도권 지하철 ▲고속도로 주요 32개 구간 등에 5G를 중점 구축한다.

    내년엔 전국 85개시 주요 행정동을 중심으로 ▲다중이용시설 4000여개(누적) ▲지하철 및 KTX·SRT 전체 철도역사 ▲약 20여개 고속도로에 5G를 구축한다.

    2022년에는 85개시 주요 읍면 중심부를 중심으로 ▲중소다중이용시설 ▲ITX 새마을호 등 철도역사 ▲전체 고속도로 등에 구축을 진행한다.

    또한 CEO들은 5G 단독모드(SA), 28GHz 투자를 확대해 '데이터 댐'을 구축, 수많은 데이터가 분석되고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새로운 가치가 창출될 수 있도록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네이버 "데이터센터를 '브레인센터'로"…카카오도 리전 건립 검토

    포털 업계도 뉴딜 정책의 근간이 되는 데이터 가치를 높이기 위해 데이터센터 기반 정부 계획의 마중물 역할을 자처했다.

    네이버는 앞서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청와대서 열린 '한국판 뉴딜' 국민보고대회에 '디지털 뉴딜' 대표 기업으로 참여했다.

    이날 한성숙 대표는 강원도 춘천에 있는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에서 영상 연결을 통해 데이터센터를 '브레인센터'로 발전시키겠다는 청사진을 내비췄다.

    한 대표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뿐 아니라 모인 데이터를 잘 활용할 때 데이터의 가치가 더욱 올라갈 것"이라며 "AI로 분석한 다양한 데이터를 클라우드 통해 공개, AI 연구와 여러 산업에 자유롭게 활용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는 지난 2013년 춘천 데이터센터 '각'을 완공했다. 오는 2023년까지 5400여억원을 들여 세종시에 두번째 데이터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각:세종'은 29만 3697㎡ 부지로, 춘천 데이터센터 보다 6배 이상 클 것으로 예상된다. 네이버는 지난 4월부터 '각:세종'에 대한 본격적인 설계에 착수했으며, 연내 착공을 시작할 예정이다. 

    카카오도 최근 클라우드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며, 이를 위해 데이터센터 건립를 검토 중이다.

    카카오는 지난해 출범한 기업형 IT플랫폼 전문 자회사 '카카오엔터프라이즈'를 선봉장으로 내세워 관련 사업을 맡길 예정이다.

    카카오는 "중장기적으로 데이터센터 등 자체 인프라를 보유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다음 정권의 디지털 정책 예산 요구 더해질 듯…부담 가중"

    그러나 정부의 이번 발표를 놓고 업계 내부적으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현 정권의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5년치 계획의 지속성이 보장될 지 의구심을 품고 있는 모양새다.

    정치권에서도 관련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김은혜 미래통합당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최강 데이터로 세계를 쥐락펴락하는 GAFA(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애플)에 대응해 디지털 플랫폼 산업지형을 어떻게 주도할 것인지는 단 한 구절도 찾아볼 수가 없다"며 "임기 2년도 남지 않은 시점에 국민 혈세를 푸는 5년치 생색 계획은 무책임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새 정권이 들어서면 '치적쌓기'용 추가 디지털 정책들을 내놓을 것이 뻔해, 추가 예산이 들어갈 수 있다는 불안감도 감출 수 없다는 입장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새 정권이 들어설 때마다 디지털 관련 정책들이 쏟아져 나왔고, 이에 따른 투자를 민간 기업들에게 종용해 왔다"며 "이번 디지털 뉴딜 관련 예산에 더해 다음 정권에서 요구하는 디지털 정책 예산이 더해져 그 부담은 가중될 것"이라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