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품업체 위기로 번져"연내 해결도 불투명"금융지원과 특별 투자펀드 조성 등 시급
  • ▲ 김주홍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상무 ⓒKAMA
    ▲ 김주홍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상무 ⓒKAMA
    반도체 공급 부족에 따른 파장이 자동차 산업을 뒤흔들고 있는 가운데, 특단의 지원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주장이 업계와 학계 안팎에서 나왔다.

    한국자동차산업연합회(KAIA)는 6일 서울 서초구 자동차회관에서 코로나로 인해 변화된 환경, 반도체 수급 대응 등을 논의하는 포럼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는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회장, 오원석 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이사장, 이동근 한국경영자총협회 부회장, 이항구 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 최종 한국GM 부사장, 박정호 르노삼성자동차 상무 등이 참석했다.

    발표자로 나선 김주홍 KAMA 상무는 “코로나에 따른 수요 예측 실패, 늘어나는 전자 및 정보기술(IT)기기로 반도체 품귀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며 “반도체 전쟁이 시작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상무는 “미국 한파뿐만 아니라 일본 지진, 르네사스 공장 화재로 외적인 불확실성이 맞물리고 있다”면서 “최근 반도체 가격이 약 20% 넘게 올라 유동성 어려움 가중 등 부담 요인으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가장 부족한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은 보통 주문부터 공급까지 12~16주가 걸리지만, 최근 들어선 38주까지 늘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는 반도체 공급 문제로 울산 1공장을 오는 7일부터 14일까지 휴업하기로 했다. 기아는 화성 공장 주말 특근을 미룬데다 이번주 중 이틀간 미국 조지아 공장 가동을 중단한다.

    반도체 수급 차질은 납품 관계를 맺고 있는 부품업체까지 번지고 있다. 

    KAMA가 1~3차 협력업체(53곳)를 상대로 긴급 조사한 바에 따르면 반도에 품귀 현상에 20.0% 이내로 생산이 줄어든 응답 기업이 64.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반 가까이 생산 규모에 타격을 입었다는 곳은 36.0%에 달했다.

    특히 완성차 생산이 줄면서 운영자금 부족에 시달린다는 응답이 32.7%를 차지했다. 반도체 부족 사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얘기다.

    정 회장은 조사와 관련해 “부품업체 중 48.1%가 반도체 탓에 생산 감축을 결정했다”면서 “72.0%는 지금의 경영 차질이 올연말까지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었다”고 언급했다.

    그는 “대만 정부와의 협력 확대를 추진하는 동시에 유동성 위기에 놓인 협력업체를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며 “이번 위기를 잘만 활용하면 국산화를 달성해 반도체 사업이 도약하는 기회로 만들 수 있다”고 조언했다.

    오 이사장은 “올해 반도체 공급 부족이 해소될 것이라는 전망은 지나친 낙관”이라며 “내년 말까지 완전한 해소를 말하기엔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공급이 정상화되면 지금의 수요를 충족 시킬 순 있지만 갈수록 자율주행 등으로 반도체 수요가 빠르게 늘어나는 향후가 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KAMA는 반도체 수급 현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기업 간 교류 확대, 국산화를 위한 지원 등에 집중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정부에 대출한도 확대 등 금융지원과 채권담보부유동화증권(P-CBO) 기준 완화, 반도체 특별 투자펀드 조성 등을 건의하기로 했다.
  • ▲ 김준규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운영위원장 ⓒKAMA
    ▲ 김준규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 운영위원장 ⓒKAMA
    코로나 이후 비대면이 변화된 패러다임 속 성패를 가르는 핵심 열쇠가 될 것이란 전망도 나왔다.

    실제 스웨덴 볼보와 독일 메르세데스벤츠 등은 코로나 확산 이후 온라인 판매를 확대하고 있다. 미국의 전기차 회사인 테슬라는 지난해 온라인 판매로만 1만1826대를 팔았다.

    현대차그룹은 판매 직원 노조에 막혀 온라인 시장을 전혀 공략하지 못하고 있다. 르노삼성의 경우 계약을 받아 판매대리점으로 연결하는 데 그친 수준이다.

    김준규 KAMA 운영위원장은 “먹거리가 없어질 것이라는 노동조합(노조) 반대에 마땅한 대응 방안이 없는 상황”이라며 “변화를 고려해 노조가 적극 검토해야 하고, 정부 차원의 권고 조치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온라인 판매가 가능하도록 제도를 손보고 판매 장려금(인센티브)을 주는 것도 살펴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밖에 △전동화(전기 구동력 활용) 확대 △고급차 비중 증대 △글로벌 가치사슬(GVC) 재편 △자율주행 등을 위한 합종연횡 △중국의 팽창과 같은 큰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