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노조, 25일 파업 찬반투표 진행노조 강경모드에 5년만에 파업 가능성기아, 한국지엠, 르노코리아도 협상 난항
  • ▲ 현대차 노조가 23일 임시대대에서 쟁의 발생 결의를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현대차 노조
    ▲ 현대차 노조가 23일 임시대대에서 쟁의 발생 결의를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현대차 노조
    KG모빌리티를 제외한 완성차 4개사의 노사 교섭이 난항을 겪고 있다. 양측의 입장 차이가 크고 노조가 ‘강경모드’로 나서면서 파업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이날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전체 조합원을 대상으로 쟁의행위에 대한 찬반투표를 진행한다. 이번 투표는 노조가 출범한 후 처음으로 모바일 전자투표 방식으로 이뤄진다. 

    노조는 올해 ▲기본급 18만4900원 인상 ▲전년도 순이익 30% 성과급 지급  ▲상여금 900% ▲각종 수당 인상 등을 요구하고 있다. 게다가 별도요구안으로 현재 만 60세인 정년을 국민연금 수령 시기와 연동해 최장 만 64세로 연장하는 방안을 주장하고 있다. 

    사측은 정년 연장 등에 대해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노조는 지난 18일 교섭 결렬을 선언했으며, 곧바로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 조정을 신청했다. 이후 23일 임시대의원대회에서 쟁의 발생 결의를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업계에서는 이날 파업 찬반투표가 가결될 것으로 보고 있다. 만약 조합원 찬반투표가 통과되고 중노위에서 조정중지 결정을 내리면 노조는 합법적인 파업권을 얻게 된다.  

    노조는 조만간 중앙쟁의대책위원회를 열어 향후 투쟁 방향, 파업 일정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노사는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 연속 무분규로 교섭을 타결지었다. 한-일 경제갈등, 코로나19 등에 따른 위기 상황이 감안됐다. 하지만 올해는 노조가 역대급 요구안을 제시하면서 5년 만에 파업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기아 노사는 이달 24일 7차 본교섭을 가졌지만 이견만 확인한 상태다. 

    노조는 ▲기본급 18만4900원 인상 ▲작년 영업이익 30% 성과급 지급을 비롯해 ▲정년 연장 ▲미래 고용안정을 위한 신사업/신공장 확대 ▲주4일제 도입 및 중식시간 유급화 ▲해고자 원직 복직 등을 요구하고 있다. 역시 사측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조건들이 대거 포함됐다.  
  • ▲ 한국지엠, 르노코리아도 올해 노사 교섭에 난항을 겪고 있다. 한국지엠 부평공장 모습. 
 ⓒ연합뉴스
    ▲ 한국지엠, 르노코리아도 올해 노사 교섭에 난항을 겪고 있다. 한국지엠 부평공장 모습. ⓒ연합뉴스
    노조는 기아가 올해 어닝 서프라이즈가 예상되는 만큼 조합원의 기대에 부응하는 안을 제시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노조 측은 “요구안 쟁취를 위해 총력을 다할 것”이라며 “사측이 불성실한 교섭 태도로 일관하고 전향적인 제시안을 내놓지 않는다면 모든 책임은 사측에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국지엠 노사도 올해 교섭에서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노조는 지난해 9년 만에 흑자전환을 이유로 들며 ▲기본급 18만4900원 인상 ▲성과급 1800만원 ▲식재료비 28.8% 인상 등을 요구했다. 

    반면, 사측은 ▲기본급 5만원 인상 ▲성과급 500만원 ▲제조생산 격려금 100만원 등을 내놨다. 

    게다가 노조는 국내에서 전기차 생산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제너럴모터스(GM)에서는 “한국에 전기차 생산 배정은 없다”는 입장을 수차례 나타내면서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르노코리아자동차 노사는 지난달 18일 노사가 잠정합의안을 도출했지만 조합원 찬반투표를 통과하지 못하면서 다시 교섭을 진행 중이다. 

    당초 노조는 기본급 14만원 인상, 일시금 600만원 지급 등을 요구했으며, 양측은 ▲기본급 10만원 인상 ▲타결 일시금 250만원 ▲격려금 10만원 지급 등에 합의했다. 

    하지만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찬성율은 47.4%에 그치면서 부결됐다. 일부 조합원은 기본급 10만원 인상에 그친 데 반발해 반대표를 던진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자동차 산업이 어려운 상황에 노조가 이기적인 태도를 버리고 상생에 나서야 한다”면서 “자신들의  입장만 주장한다면 여론이 악화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