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원확보→사업발주→국내기업 수주' 선순환효과우선과제 '에너지'…현대·대우·현대ENG 수혜 기대"낙관론 시기상조"…전쟁장기화·대금 미회수 위험
  • ▲ 러시아군 폭격으로 파괴된 우크라이나 보로디안카 시내 건물들. ⓒ연합뉴스
    ▲ 러시아군 폭격으로 파괴된 우크라이나 보로디안카 시내 건물들. ⓒ연합뉴스
    한풀 꺾였던 국내 건설기업의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참여 기대감이 윤석열 대통령의 폴란드·우크라이나 방문으로 다시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윤석열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재건에 23억달러(약 3조800억원)를 지원하겠다는 계획을 밝혀 재원조달 방안까지 마련된 만큼 큰 걸림돌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전쟁 장기화로 고전중이고 자원조달 등 리스크도 여전해 상황을 예의주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11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은 10일 우크라이나 평화 회복·재건을 위해 단기 3억(한화 약 4011억원), 중장기 20억달러(한화 약 2조674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윤 대통령의 이번 G20 정상회의에서의 우크라이나 지원프로그램 이행 발언은 국내건설사에 적잖은 호재가 될 전망이다.  

    세계 2위 군사강국인 러시아가 손쉽게 승리할 것이란 예상과 달리 우크라이나 정부가 선전하면서 전쟁은 18개월이상 지속됐고 전후 재건사업 규모도 기존 4110억달러(약 548조원)에서 7500억달러(약 980조원)로 늘어났다. 

    이 과정에서 이탈리아를 포함해 G7 의장국을 비롯, 각국에서 우크라이나 재건시장에 군침을 흘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 윤 대통령의 발언은 실질적 '산파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우크라이나 정부는 지난 5월 총 27조원 규모, 5000여 재건프로젝트에 한국기업 참여를 요청한 바 있다. 업계에선 현지 재건시장 진출의 가장 큰 애로사항을 '재원'으로 꼽았다. 

    현재 우크라이나 중앙정부는 예산 60%를 해외정부와 국제기구로부터 받은 무상원조·차관에 의존하고 있다. 전쟁으로 인해 전력·산업시설과 도로 등 주요인프라가 파괴되고 세수가 급격하게 감소한 데 따른 결과다.

    그나마 확보한 예산도 상당부분 국방비로 사용되고 있어 재건사업에 투입할 수 있는 예산은 턱없이 부족하다.

    업계에선 이번 3조원 원조가 현지정부 재건사업 발주를 촉진하고 국내기업 진출 및 수주 가능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해외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그동안 국내기업들은 본격적인 재건사업 참여를 위해 정부의 선행적인 자금지원을 요청해왔다"며 "정부지원은 현지 중앙정부 사업발주를 늘릴 뿐만 아니라 국내기업 수주가능성도 직접적으로 높이는 효과를 낼 것"이라고 내다봤다.
  • ▲ (좌로부터)윤영준 현대건설 사장, 크리스 싱 홀텍 대표,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인호 한국무역보험공사 사장이 '한·미 첨단산업·청정에너지 파트너십' MOU를 체결하고 있다. ⓒ현대건설
    ▲ (좌로부터)윤영준 현대건설 사장, 크리스 싱 홀텍 대표,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이인호 한국무역보험공사 사장이 '한·미 첨단산업·청정에너지 파트너십' MOU를 체결하고 있다. ⓒ현대건설
    가장 먼저 발주가 이뤄질 부문으로는 에너지부문이 꼽힌다.

    대형건설 A사 관계자는 "우크라이나는 전쟁으로 전력인프라 상당부분이 파괴된 가운데 추후 EU회원국 가입 추진을 목표로 에너지인프라 복구 초점을 '탄소중립'에 맞출 가능성이 높다"며 "이에 신규원자로 건설과 수소인프라 구축,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 부문에서 국내기업 진출기회가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대건설은 앞서 4월 미국 원전기업 홀텍 인터내셔널과 '팀 홀텍'을 구성, 우크라이나 소형모듈원전(SMR) 건설시장에 뛰어들었다. 양사는 2029년 3월까지 우크라이나에 SMR-160 전력망을 연결하고 추가로 20기를 배치하기 위한 부품생산 현지화 등을 추진하게 된다.

    대우건설은 우크라이나 재건시장 '관문'으로 불리는 폴란드 건설시장 문을 두드리고 있다.

    대우건설은 올해 7월 폴란드건설협회 및 현지 3위 건설사인 ERBUD와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며 현지 신규사업 추진 가능성을 높였다.

    2021년 11월엔 폴란드 현지 1위 기업인 BUDIMEX, 2022년 6월엔 2위 기업인 POLIMEX-Mostostal과도 신규원전사업 관련 MOU를 체결한 바 있다. 또 한국수력원자력과 '팀 코리아'를 이뤄 폴란드 신규원전사업 수주를 추진중이다.

    대우건설 경우 이라크와 리비아 등 해외수주 '텃밭'에서 재건사업에 참여한 경험을 보유해 우크라이나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현대엔지니어링도 폴란드 초소형모듈원전(MMR) 건설 및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참여를 타진하고 있다.

    정부가 우크라이나에 대한 3조원 지원을 약속했지만 낙관론은 여전히 시기상조라는 분석도 나온다.

    대형건설 B사 관계자는 "재원부족과 자잿값 상승 등 리스크는 수없이 많지만 무엇보다 종전 기미가 보이지 않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며 "후방지역 전력·도로 인프라에 대한 러시아 폭격이 지속중인 상황에서 재건사업에 섣불리 뛰어들기란 쉽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본격적인 재건을 위해 2032년까지 1000조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그때까지 우리 정부를 비롯한 해외 원조가 지속될지 의문"이라며 "결국 사업발주가 1회성에 그치거나 공사대금을 제때 회수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 여전히 득보다 실이 많을 것으로 본다"고 부연했다.

    또다른 건설업계 관계자는 "산유국인 중동에서도 사업중단과 공사대금 미회수 문제가 빈번하다"며 "하물며 농업국이면서 산업기반까지 파괴된 우크라이나에선 오죽하겠나"라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유럽 등 선진국 건설기업과의 수주경쟁을 위해 현지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이철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국내기업이 우크라이나 재건사업 참여를 위해 우선 고려해야 할 부분은 현지에 합작법인을 보유한 유럽기업과 경쟁"이라며 "수주경쟁력 강화를 위해 폴란드기업을 중심으로 서유럽 유력기업과 3자 협력기반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