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까지 42개 디지털 핵심기술 확보전문 개발·운용인력 1.1만명 이상 육성해양신산업 펀드 지원·R&D 세액공제 혜택디지털 해상교통정보산업 육성전략 발표
  • ▲ 해수부.ⓒ뉴데일리DB
    ▲ 해수부.ⓒ뉴데일리DB
    정부가 오는 2027년까지 디지털 해상교통정보산업을 집중 육성해 매출 100억 원 이상의 중소 수출기업을 현재의 3배 수준인 21개로 확대하고, 이를 토대로 6조5000억 원 규모의 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 구상이다.

    해양수산부는 5일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뼈대로 하는 '디지털 해상교통정보산업 육성전략'을 발표했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 기술은 선박을 더욱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변화시키는 핵심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세계 디지털 해상교통정보 시장은 연평균 8%씩 성장해 2027년에는 145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정부는 올해 기준 1.1%(1조2000억 원) 수준인 디지털 해상교통정보산업분야 세계시장 점유율을 오는 2027년 4.5%(6조5000억 원)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로, 국제 경쟁력을 갖춘 강소 수출기업을 집중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먼저 해양신산업 펀드를 활용해 창업기업과 중소기업에 200억 원의 자금을 지원한다. 연구·인력개발비에 대해선 30~40%의 세액공제 혜택을 준다. 이를 통해 디지털 선박장비·해상통신 등 현재 7개인 매출 100억 원 이상의 중소 수출기업을 2027년까지 21개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총 2300억 원 규모의 10개 연구·개발(R&D) 사업을 추진해 지능항해장비 등 42개의 디지털 핵심기술과 선박 탄소배출량 저감 서비스 등 39개의 상용화 서비스를 개발한다.
  • ▲ 디지털 해상교통정보산업 추진전략.ⓒ해수부
    ▲ 디지털 해상교통정보산업 추진전략.ⓒ해수부
    아울러 선박 디지털화를 위한 표준화 작업에도 나선다. 총 5단계의 디지털화 등급기준을 마련하고 산·학·연·정부가 공동 참여하는 국제표준화 거버넌스도 구성한다.

    국내 기업의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해선 북미·유럽·오세아니아 등 3개 국제항로에서의 다국적 실증 지원은 물론 해외인증 취득비용의 50~70%를 지원한다.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을 활용해 잠재시장인 개발도상국으로의 진출 기회도 제공한다.

    산업생태계 조성을 위해선 정부 중심으로 운용되는 '바다내비' 서비스를 개방형 공간정보체계(오픈플랫폼)로 전환해 민간기업의 참여와 활용도를 높인다. 디지털 선박 건조를 늘리기 위해 정책·민간금융권의 금리 우대도 제공한다. 기존 선박의 경우 대출금리 혜택을 통해 디지털 선박 전환을 지원한다.

    아울러 차세대 디지털 장비 개발을 위한 전문인력 100여 명과 디지털 선박 운용 인력 1만1000명도 양성한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은 "우리나라 해운·조선산업이 가진 경쟁력을 바탕으로 디지털 해상교통정보 분야의 세계적인 기업을 육성하겠다"며 "이를 통해 수출과 경제 성장을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